인구위기 대응·재해 대비까지…통계 활용 범위 넓힌다

통계청, 2023년 주요 업무계획 보고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통계청이 자연재해와 공간통계 정보를 융합한 '자연재해 통계지리정보(SGIS)'를 개발하고 빅데이터 기반 근로자 이동행태 통계, 인구위기 대응을 위한 저출산 지표체계 구축에 나선다.

통계청은 11일 기획재정부 외청장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2023년 업무계획'을 보고했다고 밝혔다.

재난 대응 지원을 위한 자연재해 통계지리정보(SGIS)도 개발한다. 재해에 취약한 반지하 주택, 노후주택에 거주하는 고령인구 자료 등을 자연재해 유형별 반경, 좌표 자료와 융합해 재해 발생 사전 및 사후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게 목표다.

인구구조 변화와 같은 사회적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통계를 개발할 계획이다.

저출산은 실태 및 원인 진단을 위한 통계지표를 발굴해 올해 연구용역을 수행하고, 2025년까지 지표체계를 마련한다. 인구위기 대응을 위해 인구추계 주기를 5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고 인구주택총조사를 기반으로 이주 아동청소년 및 청년 통계를 제공한다.

노인빈곤통계는 자산을 반영한 소득 보조 지표를 개발하며 사적연금소득 등 행정자료를 추가로 활용해 실제 노인빈곤 상황과의 체감도를 높인다. 지난해 1차 시험조사를 실시한 가상자산 통계는 올해 2차 시험조사를 실시하며, 통계 작성 방식 검토에 돌입한다.

빅데이터를 활용해 시의성 있는 통계도 개발한다. 배달앱 이용 소비자 외식 지출, 도로교통량, 구독서비스 지출 지표 등 나우캐스트 포털에서 제공할 지표를 확대한다. 이동통신사 위치정보와 통계등록부 가명정보를 결합해 근로자 이동행태와 관련한 실험적 통계도 개발한다. 통근자 현황과 출퇴근 소요시간, 근무지 체류시간 등을 조사한다.

국가통계를 뒷받침하는 IT 기반 인프라도 확충한다. 통계청은 올해까지 대면조사, 종이조사표 기반인 나라통계시스템을 비대면 조사, 디지털조사표, AI 기반 분류가 가능한 차세대 시스템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스마트조사를 확대하고, 통계 조사 과정 데이터 분석과 업무분장 자동화 시스템, 상담 시나리오 등을 구축하기 위해 시스템을 확충한다. 이를 통해 스마트조사의 조기 정착을 지원한다.

통계생산과 분석, 서비스까지 전 단계에 걸쳐 통계플랫폼의 미래 모델 구축을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과 업무프로세스 재설계를 추진한다. 통계정보플랫폼과 원포털 구축은 올해 ISP를 수립하고 내년에 예비타당성 검토를 받아 2026년부터 2028년까지 3년 동안 단계별로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통계청은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통계를 만들어 실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생산하고 각 기관별로 산재한 데이터를 연계해 통계 데이터를 높이기 위한 허브 기능을 강화하겠다”며 “통계정보플랫폼과 원포털 구축을 추진해 통계 접근성과 활용성을 높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