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방비 폭탄이 현실화되고 전기와 가스 등 공공요금이 물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커지면서 설 연휴 이후 정부의 물가 대책 고민이 깊어졌다.
2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난방비를 포함한 주택 관리비가 전월 대비 두 배 증가했다는 하소연이 잇따르는 등 물가 안정에 적신호가 켜졌다.
난방비 상승은 예고됐던 상황이다. 지난해 원자재 가격 상승과 한국전력의 누적된 적자 해소를 위해 가스비와 전기요금이 올랐기 때문이다.
가스 도매요금은 주택용을 기준으로 네 차례에 걸쳐 5.47원 올랐다. 1년 사이 인상률은 42.3%에 달한다.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글로벌 에너지 수급난이 가속하면서 LNG 수입액이 567억달러로 급증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울 도시가스 소매요금은 1메가줄(MJ·가스 사용 열량 단위)당 19.69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8.4% 올랐다. 도시가스 요금에 연동되는 지역난방 열 요금도 올랐다.
전기요금은 이달부터 킬로와트시(kWh)당 13.1원 인상됐다. 4인 가구 기준 부담은 월 4022원 커졌다.
문제는 공공요금 상승세가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미 가스요금은 올해 2분기 추가 인상을 예고했다. LNG 가격은 안정세를 찾았지만 가스공사 적자가 9조원가량 누적돼 인상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인상 폭은 지난해의 1.5~1.9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정부는 1분기 전기요금을 올리면서도 겨울철 난방비 사용 증가 등을 고려해 가스요금은 동결했다. 난방비 부담이 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치였으나 난방비 폭탄을 막지는 못했다.
이와 함께 설 민생안정대책에 에너지 취약계층에 지급하는 에너지 바우처를 확대했지만 전방위적인 난방비 상승에 대응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음주 발표하는 1월 물가에서는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물가 영향이 보다 선명해질 전망이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이 전체 물가지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3.4%에 그치지만 다른 품목으로 전이될 가능성이 크다. 각종 상품 생산, 외식 등 서비스업계에서 전기와 가스를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전기·가스·수도 요금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물가상승률 5.1% 중 전기·가스·수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0.41%포인트(P)로 집계됐지만 12월만 놓고 보면 전체 물가의 0.77%P를 끌어올렸다.
고물가에 난방비 상승 여파가 겹치면서 서민층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지만 정부는 1분기가 지나면 물가가 점점 하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3일 방송에 출연해 “공공요금 인상이 대기하고 있고 물가 상방 압력이 여전히 높다”면서도 “시간이 가면서 물가가 점점 안정돼 하반기에는 3%대 물가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다현기자 da2109@etnews.com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