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최근 5년 40대만 고용률 하락, 올해도 가장 일자리 걱정 여전”

최근 5년간 전 연령대에서 40대만 유일하게 고용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 일자리 감소와 건설경기 위축 영향이다. 올해도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과 고금리·고물가 등으로 40대 가장 일자리 위협이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17~2021년 고용률 추이. [자료:전경련]
2017~2021년 고용률 추이. [자료:전경련]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0일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데이터를 토대로 2017~2022년 세대별 고용지표 추이를 분석한 결과 40대가 유일하게 고용률이 하락한 연령대였다고 밝혔다.

세대별 고용률로 보면 15~29세는 42.1%에서 46.6%, 30대는 75.3%에서 77.3%, 50대는 75.3%에서 77.1%로 모두 상승했지만, 40대 고용률은 2017년 79.4%에서 78.1%로 1.3%p가량 하락했다.

40대 전체 퇴직자 중 휴·폐업, 명예·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퇴직한 비자발적 퇴직자 비율이 대폭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비자발적 퇴직자수 추이를 살펴보면 2017년 16만7000명에서 지난해 17만7000명으로 6% 증가했다. 전체 퇴직자 중 비자발적 퇴직자가 차지하는 비중 역시 38.5%에서 45.6%로 7.1%p 늘었다.

전경련은 “40대 인구 중 절반 이상(56.0%)은 가정 생계를 책임지고 있는 가장”이라며 “이들의 일자리 위협은 가계소득 감소, 소비지출 위축, 내수 악화 등 악순환을 야기하여 종국적으로 국가 경제 타격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업종별 40대 취업자 수는 지난 5년간 도소매업에서 21만2000명, 제조업에서 10만4000명, 숙박 및 음식업에서 9만3000명 각각 줄었다. 제조업·도소매업·교육서비스업·건설업은 지난해 기준으로 40대 취업자 비중이 가장 큰 4대 업종이다.

전경련은 “지난 5년간 최저임금 급등 및 코로나 사태 등으로 도소매와 숙박음식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타격을 받았다”며 “또 제조업 부진, 공장자동화 및 일자리 해외 유출 등으로 제조업 일자리가 줄었고 코로나 확산, 원자재 가격 및 금리 급등 등으로 건설경기가 위축된 영향이 반영됐다”고 설명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통계를 보면 2021년 기준 한국의 40대 고용률은 77.3%로 OECD 38개국 평균(82.5%)보다 5.2%포인트 낮았고 순위는 31위였다. 이는 일본(86.5%), 독일(86.3%), 영국(84.8%), 프랑스(84.2%) 등 주요 해외 국가들보다 낮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OECD 40대 인구 고용률(%). [자료:전경련]
2021년 기준 OECD 40대 인구 고용률(%). [자료:전경련]

추광호 전경련 경제본부장은 “금융·건설·제조업 등을 중심으로 구조조정 바람이 불어 40대 중장년층 일자리가 더욱 위협받는 상황인데 고용 경직성이 높은 한국 노동시장에서는 중장년층 재취업이 매우 어렵다”라며 “세제지원 강화와 규제 완화 등 일자리 관련 정책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