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데이터 양 확보보다 이를 시장에서 통용할 수 있는 조건이 구비돼야 시장 경쟁력이 생긴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23 디지털 정책포럼' 마지막 순서로 '대한민국 디지털 전략' 성공 요건과 과제를 주제로 열린 패널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데이터 활용 활성화와 데이터경제 확대를 위한 방안과 해결과제를 논의했다.
김창훈 날리지리서치그룹 부사장은 “디지털 경제 구현은 산재돼 있는 데이터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다”며 “제도적 개선 노력이 동시에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공공 데이터 활용에 따른 여러 문제에 대해 꼬집었다.
김 부사장은 “기업들은 공공데이터가 정확성이 낮고 갱신 관련 주기를 포함해 데이터 연계, 통합 데이터 여부, 정확도 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며 “공공 데이터 공개 이전에 좀 더 종합적인 테두리에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 공유가 쉽지 않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재 정부 시스템은 부처·기관별로 사일로화(파편화)돼 있어 개별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서다.
이민우 더존비즈온 이사는 “(정부 시스템이) 디지털플랫폼정부를 제공하기 어려운 아키텍처”라며 “정부 시스템의 아키텍처 설계의 근본적인 변화가 요구되며 특히 민간 플랫폼과 협업할 수 있는 설계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민성 한국IBM 실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특별법을 통해 소프트웨어(SW) 사업 대기업 참여제한제도를 완화해달라고 주문했다.
김 실장은 “중소·중견·대기업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등 자유롭게 기업들이 참여해야 최고의 기술력이 도입돼 새로운 시장이 창출되고 세계를 선도하는 먹거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전했다.
권혜미기자 hyeming@etnews.com
-
권혜미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