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노인 위한 스마트홈 만든다

국립재활원, 첫 가이드라인 마련
지체·시각·청각·자폐성 장애 등
유형별 서비스 구축 방안 제시
삼성·LG·KT 등 업체에 협력 제안

장애인 자립생활을 지원할 스마트홈 구축 가이드라인이 처음으로 마련된다. 장애인 대상 스마트홈 서비스 필요성이 꾸준히 강조된 상황에서 구축 방법론을 제시, 서비스 확대를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재활원은 오는 2025년까지 장애유형별 스마트홈 구축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만들 예정이다.

삼성전자 관계자가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를 시연하고 있다.(자료: 전자신문)
삼성전자 관계자가 스마트홈 플랫폼 스마트싱스를 시연하고 있다.(자료: 전자신문)

가이드라인은 현재 상품화된 사물인터넷(IoT) 기기·플랫폼과 신규 개발 스마트 기기를 활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서비스 구축 방법을 제시한다. 기존 상품은 신체, 인지, 감각 등에 따른 접근성 개선 방안에 초점을 맞춰 가이드라인에 반영한다. 여기에 장애인을 위한 전용 스마트 기기를 활용해 지체, 뇌병변, 시각, 청각, 지적·자폐성 등 장애 유형별 스마트홈 서비스 구축 방법까지 제시한다는 계획이다.

국립재활원은 스마트홈 구축 선결과제로 장애인 전용 스마트 기기 다양화를 꼽고 전문 기업과 협업해 시제품 개발도 병행한다. 몸이 불편해 현관문이나 창문을 제대로 여닫을 수 없는 가구를 위한 블록체인 기반 아파트 현관 자동문이나 전동 여닫이 창문 등이 대표적이다.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전동빨래거치대나 지적·자폐성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기기 등도 수요가 있다. 2024년까지 시제품을 개발하고 건설사 등과 실증사업까지 추진한다.

국립재활원은 가이드라인 개발은 물론 보급·확산을 위해서 삼성전자, LG전자, KT 등 주요 스마트홈 업체들과 협업도 제안할 예정이다. 가전 등 기기에 장애인 지원 기능을 넣는 것과 함께 신규 기기를 제어할 플랫폼에 연동 작업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특히 가이드라인 마련 후 보급·확산을 위해서는 아파트와 주택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서비스 사업을 하는 이들의 지원이 중요하다.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임명준 국립재활원 연구사는 “스마트홈 업체들이 지원하는 장애인 접근성 기능은 음성인식에 집중돼 의사소통이 어려운 장애인에게는 무의미하다”고 지적했다. 임 연구사는 “노인, 장애인 가구를 위한 특화된 서비스는 물론 구축 방법론까지 전무한 상황에서 주요 업체와 협업해 가이드라인 마련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스마트홈 서비스는 일반인뿐 아니라 장애인·독거노인 등 사회 취약계층에 효용성이 더 크다는 주장이 꾸준히 제기됐다. 장애인은 상대적으로 집 안에 머무는 시간이 긴데 몸이 불편해 기기나 각종 장치 제어가 힘들기 때문이다. 혼자 있는 장애인, 고령 가구의 경우 갑작스러운 사고를 사전에 파악하는데도 스마트홈 서비스 가치가 높다.

장애인·노인 위한 스마트홈 만든다

현재 국내 스마트홈 기기나 플랫폼은 음성명령이나 주요 기능을 읽어주는 음성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장애인 접근성을 보장하고 있다. 일반 고객 대상 제품·서비스도 이제 막 시장이 커지는 상황에서 수요가 적은 장애인 전용 상품 개발에 부담이 따른다. 장애인 자립생활을 지원하고, IT를 활용한 돌봄 사업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기 위해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 장애인보조기기 교부사업 등으로 장애인에게 스마트 기기가 보급되지만, 기능에 한계가 있는 데다 정보 부족으로 집행률도 떨어진다”면서 “수요 기반 장애인 전용 스마트 기기 개발과 가이드라인 구축으로 장애인의 자립생활과 탈시설화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