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코로나 이전 대비 10.7% 올랐다”

지난해 우리나라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4650만원으로, 코로나19 유행 전인 2019년과 비교해 10%가량 인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2022년 기업 규모 및 업종별 임금인상 특징 분석'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코로나19 팬데믹 3년(2020~2022년) 동안 10.7%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규모와 업종별로 인상액, 인상률에서 상당한 차이를 보였는데 성과급이나 상여금을 포함한 특별급여 격차가 주된 원인인 것으로 분석됐다.

2020~2022년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수준 및 인상률(자료: 고용노동부, 단위:만원)
2020~2022년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 수준 및 인상률(자료: 고용노동부, 단위:만원)

2022년 상용근로자 연평균 임금총액은 4650만원으로, 2021년(4423만원) 대비 227만원 올랐다. 코로나 유행 전인 2019년 4200만원과 비교해서는 10.7%가량 늘었다. 연평균 임금총액은 정액급여와 특별급여 평균을 합한 것으로 초과급여는 제외했다.

임금 구성항목별로는 2022년 특별급여 인상률이 2021년 대비 10.4%로, 정액급여 인상률(4.3%)보다 6.1%포인트(P) 높았다. 코로나19 팬데믹 3년(2020~2022년) 동안 인상률도 정액급여(10.3%)보다 특별급여(13.6%)가 더 높았다.

지난해 연평균 임금총액은 300인 미만 4187만원, 300인 이상 6806만원으로 나타났다. 최근 3년(2020~2022년)간 각각 392만원(10.3%), 618만원(10.0%) 인상됐다. 해당 기간 정액급여 인상률은 300인 미만이, 특별급여 인상률은 300인 이상이 더 높았다.

2020~2022년 동안 임금총액이 가장 크게 오른 업종과 가장 낮게 오른 업종 간 격차는 인상액 기준 1454만원, 인상률 기준 21.1%P로 나타났다. 금융·보험업 연평균 임금총액은 2022년 8713만원으로 2019년 7419만원 대비 1294만원(17.5%) 인상되며 가장 높은 인상액과 인상률을 기록했다. 교육서비스업은 2019년 4432만원에서 2022년 4272만원으로 연 임금총액이 160만원(-3.6%)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과 규모를 교차 분석한 결과 최근 3년간 연평균 임금총액 인상액이 가장 많은 업종은 1488만원 늘어난 300인 이상 금융보험업이었다. 가장 적은 업종은 953만원 감소한 300인 이상 교육서비스업으로 집계됐다.

교육서비스업 임금총액 하락은 300인 이상 전체 사업체의 소정실근로시간이 2019년 대비 2022년 2.8% 감소한 데 비해 300인 이상 교육서비스업의 소정실근로시간이 같은 기간 15.8% 감소한 데 기인했다.

업종별 인상액과 인상률 격차도 정액급여보다 특별급여에서 더 두드러졌다. 최근 3년간 교육서비스업의 정액급여는 69만원(1.8%), 특별급여는 91만원(19.0%) 각각 줄었다. 금융·보험업 정액급여는 634만원(12.0%), 특별급여 660만원(31.2%) 인상됐다.

최근 3년간 정액급여 업종별 인상률은 -1.8%에서 최대 16.1%로 17.9%P 격차를, 특별급여는 -19.0%에서 최대 39.0%로 58.0%P 격차를 보이며 업종별 인상률 격차 또한 특별급여(58.0%P)가 정액급여(17.9%P)보다 크게 나타났다.

정용철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