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대중 견제를 강화하는 글로벌 환경에서 공급망, 탄소 저감기술, 수소경제 분야의 한일협력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0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에 의뢰한 '최근 글로벌 이슈 대응을 위한 한·일 협력방안' 보고서를 기반으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미국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중국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구체화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과 일본 정부는 미국의 탈중국화 요구에 공동 대응함과 동시에 양국이 협의 가능한 공급망 협력의제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보고서는 새로운 공급망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정상화된 한일 관계를 활용한 핵심광물 공급망 협력, CCUS(탄소포집·이용·저장) 기술 협력, 수소 관련 기술 협력을 제안했다.
보고서는 한일 양국이 모두 자원 빈국이기 때문에 중요광물이나 중요물자 원재료의 해외 공동 개발·조달에 협력할 소지가 충분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아르헨티나, 칠레 등 다양한 광물이 매장돼 있는 중남미 국가들이 협력체를 꾸려 자원 무기화를 추진하고 있는 것에 대응해 한일 양국의 협상력도 높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우리 정부가 지난 2월 발표한 10대 전략광물은 지난해 12월 일본이 제시한 주요광물과 일치하고 2000년대 초반에는 한일 기업이 해외 광물 자원을 공동으로 개발한 경험이 있다.
CCUS 기술은 한국의 기술력이 주요국에 비해 뒤쳐진다. 미국을 제외하면 일본이 CCUS 분야의 주도권을 갖고 있다. 전경련은 한국의 CCUS 분야가 기술적으로 열위에 있고, 관련 규범도 정립되지 않은 만큼 개선된 한일 관계를 활용해 일본의 '아시아 CCUS' 네트워크 같은 다자간 기술협력 플랫폼에 적극 참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수소 분야에서도 한일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국은 수소 생산 및 운송, 기타 인프라 분야에서는 주요국 대비 열위에 있어 막대한 양의 수소를 해외에서 도입할 계획이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리튬, 니켈 등 광물 확보와 CCUS 기술 및 수소기술 개발은 우리나라의 현재와 미래 먹거리, 탄소중립 실현에 모두 필수적인 과제”라며 “양국 기업이 제3국에 공동진출하는 윈윈 전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일 공동 논의의 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함봉균기자 hbkon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