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1000대 국내기업들 10곳 중 7곳은 유연근로시간와 근로시간 감축에 연관이 있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가 활성화, 유연근로시간제 등 근로시간 선택권을 확대하는 조치들이 업무 생산성과 워라밸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시각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여론조사기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하여 매출액 1000대 기업 인사·노무 담당자를 대상으로 '근로시간제도 운영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 기업 중 67.0%는 생산성 및 일·생활 균형 향상을 위한 제도 도입 필요성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별로는 △매우 공감 21.4%, △대체로 공감 45.6%, △보통 24.3% △대체로 비공감 6.8%, △전혀 비공감 1.9%를 기록했다.
기업들이 생산성 및 일·생활 균형 향상을 위해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는 제도로는 △휴가형태 다양화, 연차사용 촉진 등 휴가 활성화 조치(27.6%)를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서 △탄력·선택·재량근로, 시차출퇴근 등 유연근로시간제(27.0%) △근로시간 기록·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강화(21.4%), △자율좌석제, 원격근무제 등 근로장소 유연화(14.3%), △근로시간저축계좌제(4.6%) 순이었다. 한편, '없음'이라고 응답한 비중은 5.1%에 그쳤다.
업무효율 개선 효과를 위한 조치에도 같은 양상을 보였다. △휴가형태 다양화, 연차사용 촉진 등 휴가 활성화 조치(83.5%) △탄력·선택·재량근로제 등 유연근로시간제(82.5%) △근로시간 기록·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강화(76.7%) △자율좌석제, 원격근무 등 근로장소 유연화(68.0%) △근로시간저축계좌제(63.1%) 순이었다.
기업들이 불필요한 초과근로 감축에 효과가 있다고 가장 많이 응답한 제도는 △탄력·선택·재량근로제 등 유연근로시간제(73.8%)이었다. 뒤를 이어 △휴가형태 다양화, 연차사용촉진 등 휴가 활성화 조치(70.9%) △근로시간 기록·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강화(67.9%) △자율좌석제, 원격근무 등 근로장소 유연화(62.1%) △근로시간저축계좌제(54.4%) 순으로 조사됐다.
전경련은 주52시간제 시행('18.7월)으로 근로시간이 줄어든 점을 감안하더라도 그 이전부터 유연근로시간제 활용률의 증가와 함께 초과근로시간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아 유연근로시간제의 활용이 근로시간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봤다.
추광호 전경련 경제산업본부장은 “근로시간 선택권을 확대한 많은 기업들이 일생활 균형 및 생산성 개선 효과를 느끼고 있다”라며 “국회와 정부는 근로시간 유연화를 통해 업무효율을 향상시키고 근로자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조정형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