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는 초연결 사회로 내닫고 있다. 온·오프라인 경계는 허물어지고 디지털전환(DX)에 가속도가 붙었다. 초연결 사회는 편리성과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사회적 취약점 증가와 또 다른 외부 위협을 낳는다. 데이터센터 등 정보기술(IT) 인프라 사고가 발생하면 사회가 '올스톱'하거나 북한 해커그룹 등 외부 공격자로부터 지켜야 할 전선이 늘어난다. '내우외환' 우려가 더 커지는 셈이다.
디지털 안전은 초연결 사회 핵심 전제조건이다. 초연결 사회 혜택은 디지털 안전이라는 든든한 버팀목이 있어야 누릴 수 있다. 사이버 위협에 대응할 정보보호 인재와 디지털서비스 안정 시스템이 두 중심축이다. 정부가 디지털 안전을 위한 인적·물적 토대 쌓기에 박차를 가한다면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초연결 사회 구현이 가능하다.
〈3〉디지털 안전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사이버보안 인력 육성에 방점을 찍은 '사이버 10만 인재 양성 방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사이버 역량이 사이버보안 제품·서비스 개발 신속성과 활용성에 좌우된다고 보고 있다. 실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사이버 보안 일자리 50만개 신규 창출 계획을 밝히는 등 세계는 사이버보안 인재 확보를 위해 바삐 움직이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최정예 사이버 인력 양성을 통한 안전한 디지털 강국 구현을 비전으로 제시했다. 이를 위해 △실전형 사이버 인력 10만명 양성 △최정예전문 인재 2000명 육성 △우수 보안 스타트업 25개 창업 지원 등을 추진한다.
먼저 정부는 사이버 보안 개발부터 대응까지 전 주기에 걸쳐 인력을 육성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최고급 개발인력 양성을 위해 기존 IT개발 인력을 선발, 보안교육·창업을 지원하는 'S-개발자' 과정을 신설했다. 또 클라우드, 가상융합경제 등 사이버 환경변화에 맞춰 융합보안대학원(3개→10개)과 정보보호특성대학(8개→12개)을 확대한다. 기업이 인재선발→실무교육→취업 전 과정을 주도하고 정부가 사업을 지원하는 '시큐리티 아카데미'도 도입한다.
사이버 인재 저변 확대를 위해 상시 육성 체계를 마련하고 글로벌 연계 기반도 닦는다. 지역 보안인재 양성을 위해 지역교육센터를 중심으로 특성화대학·융합보안대학원 등 거점대학과 함께 교육을 지원한다. 한미 정상회담 후속 조치로 미국 사이버보안 관련기관과 국내 침해대응기관 간 인력교류 등에도 힘쓸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카카오 먹통'과 같은 IT서비스 장애 사고 재발 방지를 위해 디지털서비스 안정성 강화 방안도 내놨다. IT서비스 장애가 디지털을 넘어 일상생활, 나아가 사회·경제 피해로 번지는 만큼 지속 성장을 위해선 디지털 서비스 안정성이 담보돼야 학기 때문이다.
정부는 △데이터센터 안정성·생존성 강화 △디지털서비스 대응력·복원력 제고 △디지털 위기관리 기반 구축 등을 추진해 안전한 디지털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먼저 데이터센터는 배터리 상황을 체크하는 주기를 기존 '10분'에서 '10초 이하'로 단축하는 등 재난 사전탐지체계를 강화한다. 또 배터리실 내 무정전전원장치(UPS) 등 다른 전기설비 및 전력선 포설을 금지하는 한편 배터리 랙 간 이격거리를 확보하는 등 구조적 안정성도 확보한다.
디지털 서비스 대응력 강화를 위해 영역별 다중화 체계도 확립한다. 특정 기반시설이 작동 불능이 된 상황에도 서비스가 끊김 없이 제공될 수 있도록 중요도, 구동순서 등을 고려한 다중화 체계 확립을 촉진한다.
아울러 디지털 서비스 전주기 재난관리를 체계화한다. 방송통신발전기본법 개정안에 따라 재난 예방-훈련-대응-복구 등 전주기 재난관리를 사전에 점검, 보완하는 관리의무 대상이 국민생활에 영향이 큰 주요 디지털서비스 사업자로 확대한다.
조재학기자 2jh@etnews.com
사이버 전문가 10만명 양성…IT장애·北해킹 대응력 강화
-
조재학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