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발연구원(KDI)이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8%에서 1.5%로 0.3%포인트(P) 하향했다. 하반기부터는 수출이 반등하면서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봤지만 반도체 수요 회복 시기와 금융시장 불안 등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KDI는 11일 ‘2023년 상반기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전망했다.
KDI의 전망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1.6%보다 낮고 국제통화기금(IMF)과 아시아개발은행(ADB)과 같다. 정부와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1.6%보다는 낮은 수치다.
KDI는 지난 2월 수정전망을 내놓을 때까지는 1.8% 전망치를 유지했으나 3개월 만에 이를 수정했다. KDI는 수출 위축에 따른 경기 부진이 지속되는 상황을 고려해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교역량 감소, 반도체 경기 하강이 경제 전반에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했다.
KDI는 올해 수출이 전년 대비 1.8% 증가한다고 봤으나 이번 전망에서는 1.4% 증가로 수정했다. 경상수지 흑자도 275억달러에서 164억달러로 낮춰 잡았다. 상반기 100억달러의 적자를 내고 하반기 반등해 263억달러 흑자가 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부터는 중국 경제 회복에 따른 파급효과와 반도체 수출 부진 완화로 경기가 완만하게 회복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는 2.3%로 제시했다. 대외 수요 회복, 수출 반등 등으로 내년 하반기에는 경제가 정상적인 수준을 회복할 것으로 봤다.
올해 물가상승률 전망치는 3.4%로 이전 전망(3.5%) 대비 소폭 낮췄다. 정부(3.5%), 한은(3.5%), OECD(3.6%) 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KDI는 수입 물가 하락세 전환, 공급자 측 물가 압력 축소로 물가 상승세가 둔화하는 추세며 내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4%까지 떨어질 것으로 봤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당초 예상과 달리 2분기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지연된 부분도 물가 상승률 하향 조정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경제 회복의 불안 요인으로는 반도체 경기의 변동성을 꼽았다. 반도체 관련 주요 지표들은 2~3분기에 저점을 찍은 후 반등할 것으로 봤지만 수요 회복이 가시화되지 못할 경우 경제 회복도 지연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반도체 경기 회복이 예상보다 매우 더딜 경우 1% 초반까지도 성장률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
최다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