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ST, 고용량·고출력 레독스 전지 구현

폭발 위험 낮고 수명 길어
용해도 6배 수준 대폭 향상
ESS 기술 개발 등에 용이

왼쪽부터  유승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고진혁 석사과정생, 홍석원 화학과 교수, 변진환 박사과정생.
왼쪽부터 유승준 신소재공학부 교수, 고진혁 석사과정생, 홍석원 화학과 교수, 변진환 박사과정생.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유승준 신소재공학부 교수와 홍석원 화학과 교수팀이 공동으로 레독스 활성 유기분자 성능을 크게 향상시키는 전해질을 개발, 고용량·고출력 레독스 전지를 구현했다고 16일 밝혔다.

레독스 전지는 전해액 내의 활성물질이 ‘산화-환원’ 작용을 일으키며 전기를 전해액 화학적 에너지로 저장하고 방출한다.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저렴하고 수명이 긴데다가 폭발 위험이 낮다. 레독스 전지와 같은 전기화학 기반 에너지저장장치(ESS) 에너지 용량을 높이려면 고농도 활성물질이 전해액에 용해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활성물질 자체 용해도가 낮거나 이온전도도를 높이려고 지지전해질을 추가하면 용해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연구팀은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지 않는 물질을 물에 잘 녹게 하는 ‘하이드로트로프’ 개념에 착안해 하이드로트로프 구조를 가지면서 지지전해질로 작용하는 ‘하이드로트로프 지지전해질’을 개발했다. 이 지지전해질로 활성물질의 용해도와 이온전도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게 됐다. 레독스 전지에 사용하는 유기분자 용해도가 기존보다 6배 수준으로 대폭 향상돼 고용량 레독스 전지를 개발할 수 있다.

연구팀은 하이드로트로프 지지전해질에 최적화된 레독스 활성 유기분자를 고안해 고농도의 전해액에서도 전지가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했다. 현재까지 개발된 퀴논류(quinone) 기반 레독스 전지 중 최고 농도(0.5㏖/ℓ) 전해액에서도 활성 유기분자는 안정적으로 작동했다.

특히 연구팀은 관련 분야에서는 최초로 핵 오버하우저 효과를 이용하는 핵자기공명 측정법을 도입해 하이드로트로프 전해질이 레독스 활성물질의 용해도를 높이는 물리화학적 원리를 규명했다. 하이드로트로프의 작용 메커니즘이 활성물질의 구조에 따라 다르게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각 메커니즘에 최적화된 분자구조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유승준 교수는 “이번 연구성과로 레독스 활성 유기분자의 고질적인 한계인 낮은 용해도를 향상할 수 있게 돼 고용량·고출력 레독스 전지 개발뿐 아니라 다양한 분자구조의 에너지저장원 개발에도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향후 액체를 에너지저장원으로 사용하는 장점을 활용하면 ESS 대형화와 같은 응용기술 개발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두 교수가 공동 교신저자로 참여했으며 변진환 박사과정생, 고진혁 석사과정생이 공동 제1저자로 수행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의 개인기초연구 사업의 지원을 받았으며, 전기화학 및 에너지 분야의 국제 저명 학술지 ‘ACS 에너지 레터스’에 게재됐다.

김한식 기자 hski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