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 인공지능(AI)이 미래 산업을 주도할 게임체인저로 급부상하고 있다. IT 생태계뿐만 아니라 지구촌을 흔들고 있는 것이다. 인공신경망(Artificial Neural Network) 방식의 생성형 AI는 규칙 기반(Rule-base) 챗봇과 확연히 다르다. 규칙 기반 챗봇은 질문을 분석하고 검색 기술을 통해 미리 정의해 둔 답변만을 제시한다. 반면 대량의 데이터를 통해 훈련 과정(Pre-training)을 거친 인공신경망 방식은 사용자 질문에 대화형으로 답을 제공한다. 기계와 인간이 본격적으로 소통하는 최초 사례다.
인공신경망 방식 열풍의 중심에는 오픈AI가 개발한 ‘챗GPT’가 있다. 지난해 11월 공개된 뒤 순식간에 활성 사용자 1억명을 돌파했다. 대형 언어 모델인 ‘GPT-3’의 개선판인 ‘GPT-3.5’가 선풍적 인기를 끌자 곧바로 ‘GPT-4’를 출시했다. 문제로 지적된 정보의 정확도를 대폭 개선한 버전이다.
챗GPT가 만든 시장이 뜨거운 반응을 보이자 오픈AI 주요 투자 파트너인 마이크로소프트(MS)가 검색 엔진 ‘빙’(Bing)에 챗GPT를 탑재해 AI 검색 시대를 열었고, 웹브라우저 ‘엣지’(Edge)에도 챗GPT를 장착했다.
그러자 위기감을 느낀 구글이 람다(LaMDA)에 기반을 둔 대화형 AI인 바드(Bard)를 출시했다. 이에 뒤질세라 메타는 AI 연구팀을 창설했고 람다와 같은 언어 모델인 라마(LLaMA)를 리서치용 검색엔진으로 출시했다. 중국 회사들도 생성형 AI 출시 계획이 있지만 정부 검열 등 문제로 아직 학습 중이다. 그간 생성형 AI를 준비한 세계 빅테크 기업이 서둘러 시장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국내 IT 기업도 생성형 AI 시장에 참전 의지를 불태우고 있다. 챗GPT처럼 AI 기반 모델(Foundation Model)은 매개변수가 많을수록 AI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데,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버’는 학습 매개변수 2040억개를 자랑한다. 카카오는 매개변수 300억개를 가진 코GPT(KoGPT)를 개발했다.
‘챗봇(ChatBot) 비즈니스 모델’을 확립한 기업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미국의 스타트업 재스퍼는 오픈AI의 ‘GPT-3’를 탑재한 ‘텍스트 생성 AI 앱’을 통해 블로그, 광고 문구와 이메일 쓰기를 도와주고 있다. 또 의료,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e-커머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 다양한 기업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수익 모델을 만들어 가는 중이다.
이처럼 생성형 AI가 몰고 올 변화와 진화의 폭과 깊이는 쉽게 가늠하기 어렵다는 게 미래학자의 견해다. 산업공학계는 생성형 AI가 실체가 불분명했던 4차산업을 선도한다고 본다.
그러나 생성형 AI의 본격 출현이 인류에게 꼭 축복일까?
‘피의 금요일(Bloody Friday)’. 실리콘밸리는 물론 세계 테크 업계를 놀라게 한 1월 20일 구글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두고 나온 말이다. 챗GPT의 등장과 맞물려 이날 하루 1만2000명, 구글 직원의 6%가 일자리를 잃었다.
그런데 최근 구글의 대규모 해고 뒤에 숨은 얘기가 전해지고 있다. 미국에서 기업이 해고 대상자를 결정할 때 AI에 판단을 맡기고 있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보도했다.
구글은 감원 결정에 “알고리즘이 개입되지 않았다”고 말했지만 이미 기업이 인터뷰, 채용, 홍보 등에 AI를 활용하고 있다고 WP는 전했다. 미국 얘기로 일부 분야이긴 하지만 이미 AI가 인류의 노동시장에 침투한 것이다. 구글을 비롯한 빅테크 기업의 대량 해고는 경기침체에 대비한 선제적 조치라는 얘기와 함께 인간 노동시장에 대한 구조조정의 신호탄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세계적 베스트셀러 ‘사피엔스’, ‘호모 데우스’ 등 저자 유발 하라리는 이런 얘기를 내놓은 적이 있다. “가까운 미래에 AI 발전이 더 진행될 경우 인간보다 더 일처리를 잘하는 소규모 초인류 엘리트 집단인 알고리즘 시스템이 호모 사피엔스의 정체성과 위치를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 것이다.
그의 경고가 현실화될지 여부는 알 수 없다. 하지만 생성형 AI는 인류에게 크게 보면 두 가지 숙제를 던진다. AI에 대한 윤리적 틀을 강화해야 한다는 게 첫 번째다. 두 번째 숙제는 인류의 노동시장과 AI가 어떻게 공존할까이다.
인류 입장에선 우울한 보고서가 나오고 있다. 영국 옥스퍼드대와 미국 예일대 공동연구팀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AI로 대표되는 제4차 산업혁명이 본격화되면 현재 직업의 47%가 사라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나마 다행인 게 새로운 노동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예견된 것이다. 세계경제포럼(WEF) 예측에 따르면 ‘지금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의 65%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 직업을 가지고 일할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보다 직설적으로 얘기하면 새로운 직업에 대한 교육이 이뤄지지 않으면 일자리 없이 놀 국민이 엄청나다는 것이다
윤석열 정부는 3대 개혁을 핵심 의제로 설정해 추진하고 있다. 노동개혁과 연금개혁, 교육개혁이 그것이다. 그중 교육개혁은 국가성장동력이 꺼져가고 있는 대한민국의 위기를 타개하 초석이다. 초·중·고교 커리큘럼의 대대적인 개편과 대학의 국가·사회적 역할에 대해 점검을 해야한다. 정부는 대학이 국가성장동력을 만들 수 있도록 교육개혁 청사진을 내놔야 한다.
세계경제포럼이 향후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본 직업은 대학이 가야할 길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대학에 대한 정부 차원 지원과 투자가 이뤄지지 않으면 가지 않는 길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래세대에 대한 책무를 외면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대학에 대한 투자는 미래를 향한 가장 확실한 투자다. 대한민국이 4차산업의 격랑을 헤쳐나갈 유일한 돌파구이기도 하다.
이철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초빙교수 lch9007@naver.com
〈필자〉 이철희 서울과기대 초빙교수는 서울대 사대를 졸업하고 교사로 근무하다 언론계로 옮겼다. 일선 기자로 다양한 분야에서 현장을 경험했다. 중앙일보 사회에디터와 사건사회데스크, 정치부장대우, 외교안보팀장 등을 맡은 뒤 대통령실 홍보기획비서관으로 근무했다. 국민체육공단 경륜·경정사업본부장을 거쳐 민간기업으로 이직해 반도체 장비회사 LTCAM에서 근무하다 MBN 외부필진을 거쳐 서울과기대에 정착했다. ‘진화론도 진화한다’는 명제를 움켜쥐고 지정학적 위기 속에서 변동성이 큰 대한민국의 진화를 숨죽여 지켜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