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등록번호, 자동차등록증에 표기

전기차 배터리 등록번호, 자동차등록증에 표기

자동차등록증에 전기차 배터리 등록번호가 기입될 전망이다. 전기차 배터리 이력을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가 유력 검토하고 있다.

2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출범한 민관합동 배터리얼라이언스에서 이같은 내용의 전기차 배터리 등록번호체계 도입 방안을 최종 논의했다.

당초 별도 배터리 등록증을 발급하는 방안도 논의됐지만 자동차등록증 내 배터리 등록번호를 포함하는 쪽으로 결론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민관합동 배터리얼라이언스에서 마련된 초안을 바탕으로 정부안을 확정, 법제화를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등록증에 포함된 일련번호나 QR코드, 바코드 형태 등록번호를 조회하면 배터리 생산자, 소유자에 대한 정보부터 등록, 운행, 정비, 탈거, 재사용·재활용 이력 등 배터리 생애주기와 관련한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

전기차 등장으로 배터리 관리는 화두로 떠올랐다. 전기차가 확산될수록 사용후 배터리가 쏟아지고, 이를 시스템적으로 관리하는 게 중요해졌다.

배터리는 또 에너지저장장치(ESS), 무정전전원장치(UPS)용으로 재사용하거나 파쇄 후 희소금속을 추출하는 재활용 사업에 활용될 수 있어 이력 정보가 필수다.

배터리 이력 관리는 배터리 재사용·재활용을 위한 필수지만 현재는 전기차 배터리가 별도로 등록·관리되지 않아 배터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쓰이는지 정확히 확인하기 힘들고 주기 관리도 어려웠다.

배터리 등록번호 체계가 도입되면 원료 추출부터 제조, 재활용에 이르는 모든 가치사슬 정보를 투명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각 단계별 정보를 추적해 배터리 재사용을 촉진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 주기 관리가 이뤄지면 전기차에서 배터리를 탈거 후 이 배터리를 ESS, UPS, 전기차용 재재조 등으로 구분해 재사용하는데 유리하다”면서 “또 중고차 거래나 폐차 시 배터리를 별도로 판매하는데 있어 정확한 잔존가치 평가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연합(EU)은 배터리 전 생애주기 정보를 디지털화한 ‘배터리 여권’ 제도를 2026년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BMW, 아우디, 유미코아, 바스프 등 11개 업체가 참여한 콘소시엄이 지난달 배터리 여권에 대한 첫 지침을 발표했다.

지침에 따르면 배터리 여권에는 배터리 제조업체, 제조장소, 제조일자 같은 일반 정보 뿐 아니라 탄소발자국, 공급망 정보, 재활용 소재 포함 비율 등 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에 배터리 용량, 잔존가치(SoH), 전력 성능 예상수명 등 데이터도 포함돼 배터리 잔존 성능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했다. 향후 이 데이터에 대한 접근권한을 어디까지 허용할지에 대한 논의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2018년부터 전기차 배터리 관련 정보를 수집·관리하는 이력 추적관리 플랫폼을 시행하고 있다. 일본도 민간 주도로 설립된 배터리 공급망 협의회(BASC)가 ‘일본식 배터리 이력 추적관리 플랫폼’ 구축 제안서를 지난해 공개한 바 있다.

정현정 기자 iam@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