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28㎓ 주파수 할당취소 반면교사 삼아야

Digital work of 5g or wifi signal on mobile phone, conceptual work
Digital work of 5g or wifi signal on mobile phone, conceptual work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SK텔레콤에 사전 통지한 5세대(5G) 이동통신 28㎓ 주파수 할당취소 처분을 최종 확정했다. 지난해 말 KT·LG유플러스에 이어 이통 3사 모두 28㎓ 주파수 이용기간을 채우지 못하고 중도에 반납하게 됐다. 전례가 없는 일이다.

과기정통부가 2018년 5G 주파수 할당 당시 부과한 기지국 장치 구축 조건을 이통 3사가 이행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28㎓를 백홀로 활용하는 지하철 와이파이를 제외하면 이통 3사를 통한 28㎓ 주파수 상용화는 기대할 수 없게 됐다.

앞서 이통 3사의 28㎓ 주파수 할당취소가 기정사실화되자, 과기정통부는 28㎓ 주파수에 대한 신규 사업자 진입을 추진하고 있다. 6월 28㎓ 주파수 할당 공고를 발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통 3사가 아닌 다른 사업자를 통해 28㎓ 주파수 활용을 도모하겠다는 의도다.

다만, 다른 사업자 진입을 유도하는 게 쉽지 않을 전망이다. 당장 이통 3사가 할당대가 6200억원을 감수하며 28㎓ 주파수를 포기한 것 자체가 마땅한 용도가 없다는 방증이다.

28㎓ 주파수 할당취소에 대한 갑론을박이 있지만 실패라는 사실 자체를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과기정통부와 이통사를 성토만 해선 안된다. 예측을 잘못했다는 지적은 회피할 수 없지만 28㎓ 주파수 할당취소에는 불가피한 측면도 있다.

무엇보다 과기정통부는 28㎓ 주파수 할당 취소 사태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새로운 사업자가 28㎓ 주파수를 제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말이다. 사전에 28㎓ 주파수를 활용한 특화 사업 모델 발굴을 지원하고, 사후 관리도 꼼꼼하게 해야 한다. 28㎓ 주파수 실패를 반복해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