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는 탄소중립 이행이 기업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에 착수한다고 1일 밝혔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01/news-p.v1.20230601.735dfbf0e11c4736862b0ce43999ddcb_P1.jpg)
이번 연구는 탄소중립에 따른 기업 자산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원대책을 마련하기 위한 첫 단계다. 현재 국제적으로도 탄소중립 이행이 기업 자산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이론이 정립되지 않았다.
산업부는 한영회계법인을 연구용역 수행기관으로 선정하고, 자산손실 영향평가 방법 개발을 위한 기초 작업에 돌입한다. 올해 연구에서는 주요국을 중심으로 유사 제도가 있는지 조사·분석한다. 탄소중립에 따라 발생하는 유·무형 자산손실 유형과 개념도 정립한다.
이를 기반으로 영향평가의 범위와 평가 요소를 마련해 향후 평가체계 마련에 토대가 될 일반 원칙을 도출하는 게 목표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년부터 철강, 정유 등 취약 산업군별 영향평가 방법을 정립할 것”일면서 “2025년에는 기업 자산손실 최소화 지원시책을 마련하고 시범사업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