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소재·부품·장비(소부장) 기업의 해외 시장 진출을 촉진하기 위해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 범위를 글로벌 기업·클러스터로 확대한다.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01/news-p.v1.20230601.22a0384fa5b243d897a0d7eb20eba557_P1.jpg)
산업통상자원부는 1일 서울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주영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소부장 수요·공급기업 및 유관기관과 간담회를 개최했다.
산업부는 이날 국내 협력모델을 기존 1 수요- 1공급기업 중심에서 다 수요-다 공급기업으로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국내 공급기업과 미국·독일 등 해외 수요기업과의 협력, 국내 소부장 특화단지와 해외 클러스터 간 연구·실증 협력 등 글로벌 협력모델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특히, 일본과도 첨단산업, 탄소중립 등 양국이 공동으로 당면한 과제를 중심으로 공동 연구개발(R&D), 제3국 공동진출 등의 기업 간 협력을 추진할 방침이다. 국내 소부장 생태계를 확장하면서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공동 대응한다.
소부장 수요·공급기업 협력모델은 수요-공급기업 간 공동 R&D, 사업화를 밀착 지원해 소부장 생태계 확산에 이바지하는 게 핵심이다. 지난 2019년부터 총 64건을 선정해 지원했다.
간담회에서는 율촌화학의 이차전지 파우치 기술개발과 공급계약 체결 사례, 미코세라믹스의 반도체 공정용 장비 국산화 사례 등을 우수 성과로 공유했다. 또, 소부장 업계는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대응한 경쟁력 확보를 위해 소부장 예산의 지속 확대, 수입의존도가 높은 품목의 공급망 안정화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영준 실장은 “지난달 국회에서 소부장특별법이 개정되면서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법적근거가 마련됐다”면서 “산업부는 공급망안정품목 선정 및 공급망안정 지원사업 등 후속 조치를 속도감 있게 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윤희석 기자 pione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