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유엔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출…11년 만 재진입

우리나라가 11년만에 유엔(UN)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의 비상임이사국으로 활동한다. 한국이 안보리에 재진입한 것은 2013∼2014년 이후 11년 만이다.

우리나라는 6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2024~2025년 임기의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투표에 참여한 192개 회원국 가운데 3분의 2를 넘는 180개국으로부터 표를 얻었다.

주유엔 일본대사로부터 축하의 포옹 받는 황준국 주유엔대사.
주유엔 일본대사로부터 축하의 포옹 받는 황준국 주유엔대사.

이로써 1996~1997년, 2013~2014년 임기에 이어 세 번째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돼 활동하게 됐다.

안보리는 5개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중국·러시아)과 10개 비상임이사국으로 구성된다.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은 매년 절반씩 교체한다. 아시아-태평양(아태) 지역에서 1개국, 아프리카에서 2개국, 중남미에서 1개국, 동유럽에서 1개국을 각각 뽑는 이번 선거에서 한국은 아태그룹의 단독 후보로 나섰다.

한국은 지난 2021년부터 이번 2024~25년 임기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을 준비해왔다. 그간 우리 정부는 각국과의 정상회담, 외교장관회담 등 주요 계기마다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에 대한 지지를 요청해왔다. 한국은 이번 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선거 공약으로 △지속가능한 평화(평화유지활동·평화구축 증진) △여성과 평화·안보 △사이버 안보 △기후변화와 평화·안보 등을 제시했다.

국민의힘 유상범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전체 192개 회원국 가운데 180표라는 압도적인 표를 얻은 것은 그만큼 외교무대에서 대한민국의 위상과 역량을 전 세계가 인정하고 있다는 뜻”이라며 “유엔 안보리는 유엔에서 회원국에 대한 법적 구속력이 있는 유일한 기관인 만큼 이번 이사국 선출로, 북한의 연이은 도발위협에 대한 조치 등에 있어 주도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그는 “내년에는 상임이사국인 미국, 비상임이사국 임기 2년 차인 일본과 함께 한미일 공조체제를 더욱 굳건히 하여 신속하고 강력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