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노동자’ 쓴소리 들은 민주당… 이재명 “사라진 노동탄압이 다시 눈앞에”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8일 국회 당 사무실에서 열린 ‘민주당-양대노총 청년정책 간담회’에서 정책 요구안을 받고 있다. 왼쪽부터 한국노총 최지혜 조합원, 이재명 대표, 민주노총 제치성 경기지부 청년위원장. 연합뉴스
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8일 국회 당 사무실에서 열린 ‘민주당-양대노총 청년정책 간담회’에서 정책 요구안을 받고 있다. 왼쪽부터 한국노총 최지혜 조합원, 이재명 대표, 민주노총 제치성 경기지부 청년위원장.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이 양대노총 청년노동자들로부터 노동계 현안에 대한 쓴소리를 들었다. 민주당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환노위)를 중심으로 보완 입법 등을 통해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의 전환을 촉구했다.

이재명 대표는 8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민주당-양대노총 청년노동자 타운홀미팅 노동정책 간담회’에서 “노동탄압이라는 단어가 국민들 머릿속에서 상당 시간 사라졌다가 참으로 오랜만에 국민들 눈앞에 벌어졌다”고 말했다.

이날 한국노동조합총연맹(한국노총)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소속 청년노동자들은 각 산별로조별 겪은 어려움을 토로했다. 이들은 △산업구조 개편에 따른 하도급·비정규직 노동자의 고용 안전 보장 △중대재해 및 산재예방 △채용 절차 투명화 △장시간 노동 및 과로사 방지 △간호조무사 실습생 보호 △포괄임금제 근절 등을 요구했다. 특히 전주 콜센터 현장실습생 자살사건을 다룬 영화 ‘다음소희’를 언급하며 노동 인권 교육 등도 강조했다.

민주당은 환노위 통해 추가적인 정책을 마련하거나 보완 입법을 하는 등 청년 노동자들의 어려움을 국회 차원에서 해결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윤석열 정부의 노동 정책 전환을 촉구했다.

이 대표는 “노동자들의 단결권과 교섭권, 행동권은 헌법이 보장하는 기본 권리임에도 건설 노동자들이 조직을 결성하고 집단적으로 요구하고, 노동조건에 대한 사용자들의 양보를 받아낸 걸 공갈죄로 처벌하는 사례는 노동자들의 집단행동을 소요죄나 내란죄로 처벌하는 시대를 떠올리게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지난달 31일 경찰이 김준영 전국금속노동조합연맹(금속노련) 사무처장의 머리를 곤봉으로 내리 친 사건을 언급하며 “진압을 위한 것인지 누군가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인지 의심이 든다. 현 정부와 현 집권 세력의 노동자에 대한 인식을 돌아봐야 한다”고 비판했다.

청년 노동자들의 정책이 청년 세대만을 위한 정책이 아니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성주 민주당 정책위 부의장은 “청년노동자를 위한 노동정책이 단순한 ‘청년세대’만을 위한 정책일 수 없다”며 “대한민국 모든 노동자들의 노동환경과 직결된 문제”라고 말했다.

최기창 기자 mobydi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