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 속도가 임금근로자 증가 속도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어붙은 채용시장과 경기침체에 따른 휴·폐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2022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전체 임금근로자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102만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79만3000명)에 비해 22.7만명 늘었다.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전일제 일자리 등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의사가 있으나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시간제근로를 택한 근로자를 의미한다.
지난 10년간(2012~2022년) 연령대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50대 이상이 2012년 28만7000명에서 2022년 47만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5%씩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은 22만7000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씩 증가했다. 30대는 9만7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연평균 0.7%씩 올랐다. 반면 40대는 18만2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연평균 1.6%씩 감소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가 된 사유로는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 일자리를 구한 생계형 근로자가 60.8%로 가장 많았다. 원하는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서(17.2%),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3.4%), 육아·가사 등 병행(5.5%)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12~2022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 추이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층(15~29세)이 2012년 7만1000명에서 2022년 13만4000명으로 연평균 6.6%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뒤이어 50대 이상이 23만4000명에서 36만1000명으로 연평균 4.4% 상승했다. 같은 기간 30대와 40대는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줄었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한국의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전체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한국이 43.1%로, 조사대상 OECD 30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29.1%)의 1.5배 수준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지난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세가 임금근로자보다 더 가팔랐다는 것은 구직자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활력 제고와 노동시장의 경직성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