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연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임금 근로자 증가율 추월”

최근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 속도가 임금근로자 증가 속도를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얼어붙은 채용시장과 경기침체에 따른 휴·폐업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이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2012~2022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연평균 증가율은 2.5%로, 전체 임금근로자 연평균 증가율(1.4%)보다 1.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2년 기준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102만명으로, 10년 전인 2012년(79만3000명)에 비해 22.7만명 늘었다.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추이 및 연평균 증가율(자료: 통계청)
비자발적 시간제 근로자 추이 및 연평균 증가율(자료: 통계청)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전일제 일자리 등 더 많은 시간을 일할 의사가 있으나 마땅한 일자리를 찾지 못해 어쩔 수 없이 시간제근로를 택한 근로자를 의미한다.

지난 10년간(2012~2022년) 연령대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는 50대 이상이 2012년 28만7000명에서 2022년 47만명으로 늘었다. 연평균 5%씩 늘어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청년층(15~29세)은 22만7000명에서 29만명으로 연평균 2.5%씩 증가했다. 30대는 9만7000명에서 10만4000명으로 연평균 0.7%씩 올랐다. 반면 40대는 18만2000명에서 15만6000명으로 연평균 1.6%씩 감소했다.

지난해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가 된 사유로는 생활비 등 당장 수입이 필요해 일자리를 구한 생계형 근로자가 60.8%로 가장 많았다. 원하는 분야의 일자리가 없어서(17.2%), 전공이나 경력에 맞는 일거리가 없어서(3.4%), 육아·가사 등 병행(5.5%) 등 순으로 나타났다.

2012~2022년 생계형 시간제근로자 추이를 연령대별로 분석한 결과, 청년층(15~29세)이 2012년 7만1000명에서 2022년 13만4000명으로 연평균 6.6% 늘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뒤이어 50대 이상이 23만4000명에서 36만1000명으로 연평균 4.4% 상승했다. 같은 기간 30대와 40대는 생계형 시간제근로자가 줄었다.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한국의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높은 수준이다. 2021년 기준 전체 시간제근로자 중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비중은 한국이 43.1%로, 조사대상 OECD 30개국 중 7위를 차지했다. 이는 OECD 30개국 평균(29.1%)의 1.5배 수준이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지난 10년간 비자발적 시간제근로자 증가세가 임금근로자보다 더 가팔랐다는 것은 구직자들이 원하는 일자리가 충분히 공급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양질의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규제개혁을 통한 민간활력 제고와 노동시장의 경직성 완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용철 기자 jungyc@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