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청 전경](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13/news-p.v1.20230613.cb9ab1f51f9840a5bd30958e8467825f_P2.jpg)
인천시는 오는 16일 인천 미추홀타워에서 ‘인천, 초거대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 강화 네트워킹 세미나’를 개최한다.
초거대 AI는 대용량 데이터를 학습해 인간처럼 종합적 추론이 가능한 AI으로, 지난해 11월에 출시된 챗GPT가 대표적이다.
이번 세미나는 챗GPT가 불러온 초거대 AI 시대를 맞아 지역 AI 기업 육성과 인천특화 산업과 연계 방안을 모색하고 기업 간 새로운 파트너쉽 형성을 통해 경쟁력 강화를 도모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행사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솔트룩스, 모트렉스, 네이버AI연구소의 AI 분야 전문가 등이 한자리에 모여 △챗GPT 기술활용 비즈니스 개발 사례 △AI 융합산업 사업화 전략 △임베디드(Embedded) AI 산업 사업화 사례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세미나의 첫 번째 주제는 ‘초거대 AI 모델 시대 개막 및 향후 대응 방향’으로 임수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박사가 연사로 나서 빅테크 기업들의 초거대 AI 모델을 활용한 비지니스 모델을 소개하고, 중소기업 대응 방향에 대해 강연할 예정이다.
두 번째 주제는 김재은 솔트룩스 AI 랩장이 ‘챗GPT 기술활용 비즈니스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주제로 발표한다. 솔트룩스의 초거대 AI 언어모델 기술 상용화 전략과 인천 지역산업과의 연계방안으로, 관내 AI 기업이 지역특화산업과 연계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강연한다.
세 번째는 ‘임베디드(Embedded) AI 산업 사업화 사례’를 주제로 김재철 모트렉스 연구개발부문 실장이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AI 기술 개발 방향에 대해 강연한다. 임베디드 AI는 AI가 타 산업(로봇, 자율주행차 등)과 연계해 얼마나 확장성을 가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분야로, 해당 분야 활성화는 AI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 활성화까지도 연계 가능한 분야이다.
마지막으로 김필수 네이버 AI연구소 리더가 ‘초거대 AI 창세기 그리고 비즈니스 환경의 변화’를 주제로 네이버의 초거대 AI 모델인 ‘하이퍼클로버’에 대해 소개하고, 비즈니스에서 초거대 AI 도입을 위한 실질적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손혜영 시 데이터산업과장은 “앞으로도 인천시는 초거대 AI 시대를 선도해 나가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 나가겠다”며 “특화산업과의 연계뿐만 아니라 지역 AI 기업이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인천=김동성 기자 esta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