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펌프킨 제공](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19/news-p.v1.20230619.d5b4d4a6f7f44b109aab717800f5f626_P1.jpg)
전기차 충전 솔루션 전문 기업 ‘펌프킨’이 ‘OCPP 2.0.1’ 인증 획득 및 V2G, Pnc 기능 탑재 480kw급 초고속 충전기의 상용화를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OCPP 2.0.1 인증 시험에 참여한 업체는 국내외 총 7개 기업으로 펌프킨은 국내 전기차 충전기 제조사로서 인증을 획득했으며, 해당 인증은 전기차 충전과 운영을 위한 글로벌 산업표준 프로토콜이다.
펌프킨 측에 따르면 현재 국내에서는 OCPP V1.6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번 2.0.1 인증을 획득함으로써 펌프킨이 개발 중인 400kw급, 480kw급 초급속 충전기에 PnC, V2G, V2V 등 다양한 충전 연계 서비스 사업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펌프킨이 전국에 구축한 대용량 충전기(100kw 이상)는 2023년 말 기준 3,000여 대로 예상되고 전국에 구축한 충전소의 연간 공급하는 충전 전력은 350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되며, 급속충전기가 충전하면서 수집한 4억 개 이상의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개발한 eBAB 통합관제 시스템은 실시간으로 충전기 제어 및 장애 처리 기능이 향상되어 전력 효율화와 에너지를 절감하는 수익 모델인 DR(Demand Response), VPP(가상 발전소)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펌프킨은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빅데이터 구축 지원 사업(15억 원, 3년간)에 선정되어 빅데이터센터를 구축했으며, 네이버 클라우드와 협업으로 구축된 eBAB 충전 통합 운영 관제 프로그램은 지역별 충전소 특성에 맞게 다양한 PUMPKIN eBAB 충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고, 해당 프로그램은 ‘2022년 대한민국 S/W 품질 대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관계자는 “펌프킨은 대기업, 국책 연구기관 등과 함께 전기차 충전 기술에 대한 기술 선점을 위해 다양한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있으며, 펌프킨 측은 이를 통한 Moving Robot Automatic Charging System(이동 로봇 자동 초고속 충전) 기술은 전기버스, 자율주행 차량 등에 자동으로 충전하는 초고속 충전 기술로서 전기차 제조사들과 성공적으로 개발을 완료했고 올해 말에는 수도권 2개소 차고지에 실증 시범사업에 들어간다”라고 전했다.
이어서 “V2G 기능이 탑재된 전기선박 전용 초고속 충전기, ESS 연계형 V2G 초고속 충전기 및 전기 비행기 전용 이동형 고속 충전기 등을 개발하고 있어 향후 다양한 교통수단이 신재생에너지와 연계된 ‘eBAB S/W BM’으로의 발전을 기대한다”라고 설명했다.
펌프킨은 최근 △환경부(충전기 보급, 브랜드 사업) △서울시(완속·급속충전기, 전기 택시·전기버스) △경기도 급속충전기 등 설치 지원 보조사업자로 선정되어 eBAB 충전 서비스 지역을 확대 중이다.
사업을 총괄하는 최용길 사장은 “특허 등록한 기술들을 기반으로 충전 빅데이터와 전기차 주행 이력 데이터를 융합하여 미래 신사업을 발굴했다”라며, “또한 본격적인 사업화를 위해 연구소 내 조직개편을 통해 AI 플랫폼 센터를 신설하였고 소프트웨어 중심의 충전기 제조사로 환골탈태하고자 C 레벨의 전문 인력 영입과 전사적인 투자를 집중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전자신문인터넷 서희원 기자 shw@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