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디지털 시민 원팀’ 성과 공유

19일 이화여자대학교 이삼봉홀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성과공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19일 이화여자대학교 이삼봉홀에서 열린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성과공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KT는 지난해 12월 출범한 ‘디지털 시민 원팀(One-Team)’ 성과공유회를 이화여자대학교 이삼봉홀에서 개최했다.

디지털 시민 원팀은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디지털 세상을 만들기 위한 단체다. KT를 비롯한 22개 기업과 전문기관이 참여하고 있다. 각 기관 기술과 역량을 고려해 교육, 기술·연구, 피해지원 3개 분과로 구분하고 협력체계를 운영한다.

디지털 시민 프로젝트 성과공유회에서 교육 분과는 이화여대와 서울시 및 경기도 교육청이 공동으로 올바른 디지털 활용 문화를 위한 교육 인프라 구축을 위해 협력 중인 사례를 공유했다.

원팀은 초등학교 저학년을 위한 맞춤형 디지털 시민 교육과정 및 콘텐츠를 개발 완료했다. 해당 교육 콘텐츠를 활용해 경기도와 서울시교육청 소속 20개 초등학교 약 2100명 학생을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KT는 한국언론진흥재단과 협력해 디지털 시민 교육을 전문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디지털 시민 서포터즈를 선발해 육성한다. 현재 교육을 마친 83명의 전문강사가 활동 중이다.

이날 정제영 이화여대 미래교육연구소장 발표로 소개된 ‘DCTI(Digital Citizen Type Indicator)’가 많은 관심을 받았다. DCTI는 MBTI의 디지털 시민 버전으로 개개인의 디지털 사고·학습·활동 선호도를 파악해 디지털 시민 유형을 도출할 수 있는 진단 모델로 이화여대가 개발했다.

법·제도 개선 워킹그룹을 통해 도출된 개선 법률안은 과제에서 머무는 것이 아니라 국회 등 관련 기관과 협력해 실질적인 법 개선 성과로 연결 될 수 있도록 피해지원 분과 차원에서 노력한다. 하반기에는 디지털 부작용 피해자들의 심리치료 지원도 본격 운영한다.

김무성 KT ESG경영추진실장(상무)은 “KT는 프로젝트 사무국으로서 참여 기관의 장점과 역량이 상호 시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준호 기자 junh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