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제조기업들이 3분기 경기전망에 대해서 부정적 평가를 유지했다. 내수와 수출 모두 좋지 못할 것으로 전망한 가운데, IT와 전기, 철강 등 주력 업종에서도 부정 전망을 내놨다. 상반기 실적에 대해서도 제조업 68%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전국 2307개 제조업체를 대상으로 ‘기업경기전망지수(BSI)’를 조사한 결과, 기업들의 3분기 전망치는 91로 집계돼 전분기(94)보다 3포인트(p) 하락했다. 2021년 4분기부터 여덟 분기 연속으로 경기전망이 기준치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부문별 BSI도 내수(94→90), 수출(97→94) 모두 부정적 전망이 전분기보다 많아져 하반기 들어 경기회복세가 본격화될 것이라는 주요기관들의 전망과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기업경기전망지수(BSI)는 100이상이면 해당 분기의 경기를 이전 분기보다 긍정적으로 본 기업이 많다는 의미이고, 100이하면 그 반대다.
![최근 대한상의 BSI 추이.](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27/news-p.v1.20230627.42728ad0b7564124a2bfeadda20e0ec1_P2.png)
업종별로는 100을 넘어서는 분야도 있었다. 제약(115), 의료정밀(105) 등 바이오산업과 엔데믹 효과가 기대되는 식음료(108), 수주 호조세인 조선(106)이 대표적이다. 반면 IT·가전(83), 전기(86), 철강(85), 섬유·의류(75) 등 주력 업종들은 100을 크게 하회했다. 상승세를 보이던 자동차(98), 화장품(93), 기계(92) 업종도 3분기에는 부정적 전망이 더 많았다.
철강(85) 및 비금속광물(78) 업종은 건설경기 불황과 레미콘 수급 차질의 영향으로 경기악화가 전망됐고, 목재·종이(73), 섬유·의류(75), 가구(78) 등 내수업종 기업들도 부정적 전망을 한 기업이 월등히 많았다.
![2023년 3분기 업종별 BSI.](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06/27/news-p.v1.20230627.1cf64c926f77426fa187b696d3c01f9d_P2.png)
상반기 영업실적 또한 당초 목표에 미달할 것이라는 기업이 많았다. 상반기 영업이익이 올해 계획한 목표치를 달성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응답기업의 43.5%가 ‘소폭 미달’을 예상했고, 18.9%는 ’크게 미달할 것‘이라고 응답해 62.4%의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하반기 리스크로는 △고물가·원자재가 지속(60.4%) △내수소비 둔화(44.3%) △수출부진 지속(23.2%) △고금리상황 지속(20.0%) △원부자재 수급차질(12.6%) △고환율상황 지속(12.4%) 등을 꼽았다.
김현수 대한상의 경제정책팀장은 “올해 들어 대중 무역수지 적자가 심화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기가 회복되더라도 구조적 문제로 수출 부진이 지속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면서 “회복세를 보였던 내수소비도 고금리 장기화 등으로 둔화추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선제적인 통화정책으로 소비와 투자 심리를 살리고, 구조적 수출둔화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중장기 대책마련에 민관이 머리를 맞대야 한다”고 말했다.
조정형 기자 jeni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