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사자원관리(ERP)에서 리소스(R)를 재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탄소배출도 R에 포함시켜서 기업에서 자금 관리하듯 탄소를 관리해야 합니다.”
폴 메리엇 SAP 아태지역(APJ) 회장은 4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열린 'SAP NOW Seoul 2023'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SAP의 경쟁우위는 대·중소기업과 무관하게 탄소배출 관리를 해주면서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있다”고 강조했다.

메리엇 회장은 △비즈니스 솔루션에 책임감 있는 인공지능(AI) 적용 △탄소 추적을 위한 장부 기반 회계 △공급망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네트워크 설립을 주제로 기조연설을 했다. 그는 탄소배출 관리가 기업의 지속가능성 높인다며 탄소배출의 효율적 관리 중요성을 강조했다.

SAP의 다른 관계자 역시 '지속가능성'을 중요 키워드로 꼽았다.
군터 로테르멜 SAP 지속가능성 엔지니어링 총괄은 “지속가능성은 사업 전략과 함께 일상 업무까지 반영해야 실현할 수 있다”며 “지속가능성은 기업 활동에 정확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모든 산업은 탈탄소화로 움직이고 있어 기업 간 거래에 탄소배출 발자국 정보도 교환된다”며 “SAP는 재무·회계·구매·물류 등에서 활용할 수 있게 탄소 데이터를 접목시켜 제공한다”고 덧붙였다.
요 바일바흐 SAP BTP엔지니어링 총괄은 비즈니스 테크놀로지 플랫폼(BTP)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바일바흐는 “BTP는 전사적으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통합 장벽도 허물어 유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며 “도요타는 SAP BTP 서비스로 파편화된 ERP를 통합·구축해 통합 비용 50%, 개발 시간 30%를 절감했다”고 설명했다.
신은영 SAP코리아 대표는 “클라우드 ERP 근간인 SAP BTP는 통합된 형태로 고객사가 진행하는 모든 사업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두호 기자 walnut_par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