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금융시장 화두 중 하나는 포용금융이다. 1분기 은행 실적이 사상 최대실적을 거두면서 금융지주와 대형 은행 중심으로 금융당국의 '포용·상생 금융정책'에 적극 화답하는 모습이다. KB, 신한, 우리, 하나은행 등이 취약계층에 대한 대출 확대와 금리 인하방안을 내놓고 있고, 최근엔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카드사 등 비은행권도 포용금융 동참에 잰걸음이다.
포용금융정책은 '고금리와 유동성 위축'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소상공인·벤처기업 등 취약 계층에 가뭄의 단비라 할 만큼 긍정적 효과가 크다.
지속적인 포용금융을 위해서는 '이익의 사회 환원' 개념만으론 불충분하며, 포용금융을 수익모델로 하는 금융서비스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많다. 어떤 금융서비스와 금융상품이 이에 부합할까. 업계에선 핀테크가 해결책이라고 얘기하고 있다. 개인적으로도 기존 금융권 포용 노력에 핀테크를 적극 활용한다면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에 훨씬 가까이 다가설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이는 포용금융 부족의 범주(Category)를 나타내는 UN의 '금융 소외기준'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UN이 설정하고 있는 금융 소외기준은 금융서비스의 이용 불가능성(Non-availability), 감당할 수 없는 가격 (Non-affordable price), 금융서비스의 부적합성(Ineligibility), 금융 문맹(Financial Illiteracy) 등 네 가지다. 예컨대 금융서비스를 지리적 이유 때문에 이용할 수 없다거나 특정 소비계층에 과도한 가격, 대출 대상의 신용도 파악과 금융서비스를 이해하기 어려울 때 금융 소외가 일어난다는 얘기다. 따라서 시간·공간 제약이 없고, 다양한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는 핀테크야말로 포용금융에 가장 적합한 수단이라는 게 전문가 평가다.
핀테크 활용으로 시간·공간적 범위를 확대할 수 있고 공간 비용, 인건비 절감에 따른 가격하락효과, 또 재무데이터에만 의존하던 기존 평가와 달리 SNS 등 비재무적 빅데이터를 통한 대안 신용평가로 대출 및 투자영역을 넓힐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그럼 포용금융 핀테크에는 어떤 것을 생각할 수 있을까. 물론 핀테크 기본 성격이 포용적이라고 보면 거의 모든 핀테크서비스가 포함된다고 할 수 있다. 시장에선 중소벤처기업과 소상공인을 위한 매출채권관리서비스, 경제기반이 취약한 20대 취준생 대상의 후불 직무교육서비스, 10대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입시진학 무료 서비스 등 극히 다양한 포용서비스들이 출시되고 있다. 하지만, 분야별로 대표적인 포용금융수단을 얘기하라면 개인적으로 P2P와 크라우드펀딩 그리고 대안보험상품 출시가 가능한 인슈어테크를 꼽고 싶다.
우선, P2P는 활용하기에 따라 최적의 포용금융이다. 온라인 대출이기 때문에 인건비, 임대료 등 비용 절감이 가능하며 손안의 스마트폰 플랫폼 활용으로 시·공간 제약이 없다. 정보기술(IT)로 수많은 소액대출을 저비용으로 신속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한때 부실 논란에 빠지기도 있지만, 지금은 업권 전체적으로 소상공인 대안평가를 위한 빅데이터 구축도 상당히 진행됐다는 평가다. 시장에선 소상공인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장착한 공공플랫폼을 구축한 후, 마켓메이커(Market Maker)제도를 도입하자는 의견도 있다. 플랫폼 활용과 함께 소상공인 등 취약계층의 자금수요를 충족시켜줄 책임 가이드라인을 만들자는 취지다.
크라우드펀딩은 소액이지만 투자자가 워낙 많아서 자금조달 외에 마케팅·홍보와 매출 증가 등 3종 셋트효과가 기대된다. 자금조달이 어려운 벤처기업에겐 가뭄에 단비 같은 포용금융수단이란 얘기다. 현재 논의되는 토큰 증권의 투자플랫폼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끝으로 마이헬스웨이 의료데이터 구축에 발맞춰 보험과 대안신용평가를 아우르는 소위 '융합형 대안보험상품' 등으로 인슈어테크업계를 재점화시켜주기를 기대해본다.
정유신 서강대 경영학과 교수·디지털경제금융연구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