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데이터센터 분산정책에 발맞춰 지방자치단체가 데이터센터 유치에 열을 올리지만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현실적 여건을 고려한 인센티브 방안과 차별화 전략을 마련해야 시행착오를 줄일 수 있다는 분석이다.
◇단순 인센티브는 부족…차별화된 컨셉 필요
정부는 지난 3월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완화 방안을 발표했다. 현재 데이터센터는 입지 60%, 전력수요 70%가 수도권에 집중됐다. 데이터센터를 비수도권으로 분산해 수도권 쏠림 현상으로 인한 전력 수급 불안을 완화하겠다는 것이 정부 방안이다.
지자체도 정부 정책에 환영하며 각종 인센티브 방안을 추진한다. 투자 보조금으로 최대 1000억원까지 지원하거나 부지 무상 제공 또는 장기임대 혜택을 내건 지자체도 있다. 전라북도는 새만금산단 장기임대용지를 평당 약 4400원에 최장 100년간 제공한다는 인센티브안을 마련했다.
전문가는 세금 감면, 토지 제공 등 혜택 외에 기업에 실질적 이득이 될만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데이터센터 컨설팅 업체 대표는 “자가용 데이터센터(자체 사용)가 아니라 상업용(임대) 데이터센터 사업자의 경우 고객 유치가 가장 시급한 과제”라면서 “지역 내 입주 가능한 기업을 연결하거나 부산 그린데이터센터 집적단지처럼 차별화된 컨셉으로 친환경에 민감한 외국계 기업이 환영할만한 요소를 추가하는 등 지속가능한 대안을 제시해야 중도하차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먹구구식 MOU는 지양해야…전문성 확보 우선
상당수 지자체가 데이터센터 설립을 원하는 기업 혹은 투자사와 업무협약(MOU) 체결 후 사업을 진행한다. MOU에만 급급해 기업이나 투자사 특성, 투자계획 등을 제대로 살펴보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업계 관계자는 “데이터센터 지방분산이 화두가 되자 소규모 도시에서도 데이터센터 설립 관심이 높다”며 “부동산이나 투자업계에서도 데이터센터 설립에 관심이 높아 지자체가 MOU를 제안하면 바로 성사되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지자체나 기업 양측 모두 데이터센터 설립 경험이 없을 경우 조건 등을 제대로 살펴보지 않고 MOU부터 체결하는 바람에 추후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며 “유행따라 데이터센터 산업에 접근하지 말고 실질적으로 구축가능한지 여부를 꼼꼼히 따져봐야한다”고 덧붙였다.
지자체도 전문성 확보가 시급하다는 점에 동의하는 분위기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는 지자체 문의 급증으로 내달 중순 지자체 대상 별도 교육을 진행한다.
연합회 관계자는 “국내 주요 지자체 대부분이 교육에 참여하기로 하는 등 지자체에서도 데이터센터 유치전략 등 전문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라며 “지자체간 경쟁이기도 하지만 데이터센터 설립이 지역경제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문성 없이 사업을 진행해선 안된다”고 조언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