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빚 1862.8조원…집·주식 투자에 3개월 만에 10조원↑

가계신용 잔액(자료=한국은행)
가계신용 잔액(자료=한국은행)

올해 2분기 전체 가계 신용잔액이 전 분기보다 10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경기 회복과 더불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급증이 반영됐다.

22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3년 2분기 가계신용(잠정)' 통계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말 기준 가계신용 잔액은 1862조8000억원으로 1분기 말(1853조3000억원)보다 0.5%(9조5000억원) 증가했다.

가계신용은 가계가 은행·보험사·대부업체·공적 금융기관 등에서 받은 대출에 결제 전 카드 사용 금액(판매신용)까지 더한 '포괄적 가계 빚(부채)'을 말한다.

먼저 가계신용 중 판매신용(카드 대금)을 뺀 가계대출 2분기 말 잔액은 1748조9000억원으로 1분기 말(1738조8000억원)보다 10조1000억원이 늘었다. 가계대출 가운데 주담대(잔액 1031조2000억원)이 14조1000억원 늘어 직전 분기에 이어 최대 잔액 기록을 또 경신했다. 증가 폭도 1분기(4조5000억원) 3배를 웃돌았다.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잔액 717조7000억원)은 4조원 줄면서 7분기 연속 감소세를 유지했다. 다만 감소 폭은 한 분기 만에 15조5000억원에서 4조원으로 10조원 이상 급감했다.

창구별로는 예금은행에서 가계대출이 3개월 사이 4조원 증가했지만, 상호금융·상호저축은행·신용협동조합 등 비은행예금취급기관에서는 6조5000억원 줄었다. 기타금융기관 가계대출은 주담대(+10조4000억원)을 중심으로 12조6000억원 급증했다. 세부적으로 주택금융공사가 포함된 공적금융기관에서 특례보금자리론 등의 영향으로 4조7000억원, 증권사 등 기타금융중개회사에서 7조8000억원 늘었다.

박윤호 기자 yuno@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