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가구당 실질소득이 공공요금 인상 등 소비지출이 늘어나며 4분기 연속 감소했다.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가계동향에 따르면 2분기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479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0.8% 감소했다. 물가 변동의 영향을 제거한 실질소득은 전년 동기 대비 3.9% 줄었다.
2분기 가계소득은 2021년 2분기 전년 동기 대비 0.7% 줄어든 뒤 7분기 연속 증가세를 유지했지만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2009년 3분기 1.3% 줄어든 뒤로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기획재정부는 전년동기 가계소득이 역대 최대 수준인 12.7% 증가한데 따른 기저효과와 코로나 지원금 효과 소멸 등으로 총소득이 소폭 감소했다고 분석했다.
특히, 공공요금 인상 등 고물가 영향까지 겹치면서 실질소득은 더 큰 폭으로 줄었다. 올해 2분기 가구 실질소득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3.9% 줄었는데,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06년 이후 최대 감소 폭이다. 통계청은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소득이 사라진 것과 고물가 영향이 더해지면서 실질소득이 감소했다고 해석했다. 해외여행 활성화와 가정의 달 등 가계 지출 요인도 분명해 실질소득이 4분기 연속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
반면 근로소득은 양호한 고용흐름으로 4.9% 증가했으며, 사업소득도 완만한 내수 회복세 등을 반영해 감소에서 증가(0.1%)로 전환했다. 다만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긴급생활지원금 효과 소멸 등으로 이전소득이 급감(-19.6%)하며 전체소득은 감소세로 바뀌었다.
같은 기간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69만1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소폭(2.7%) 늘었다. 1분기 급증(11.5%)했던 소비지출 증가율은 2분기는 외부 요인으로 억눌린 소비 심리가 급속히 살아나는 '펜트업 효과'가 감소하며 둔화했다.
물가상승을 고려한 실질소비지출은 0.5% 감소했다. 소득은 줄고 지출은 늘어나는 등 가계 살림을 나타내는 지표가 4분기 연속 기지개를 켜지 못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소득·분배가 지속 개선될 수 있도록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사회안전망을 강화하겠다”면서 “폭염·호우 등에 따른 물가 불안 및 피해가 취약계층에게 집중되지 않도록 민생·물가 안정에 총력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