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이 각 국·관별로 분산된 정보화 업무와 인력을 통합한다. 정보화 기능을 총괄하는 조직 '정보화센터(가칭)'를 신설하고 미래 첨단 치안 환경에 선제적 대비한다. 경찰청이 보유한 막대한 데이터 표준화를 통해 품질을 강화하고 모바일 플랫폼 구축을 추진하는 등 뉴노멀 시대 대응력을 높일 방침이다.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은 30일 서울 서대문 경찰청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경찰청 지능 정보화(ICT) 중·장기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내년은 경찰청 정보화 시스템 도입 50년이 되는 해다. 경찰청은 향후 30년 경찰 정보화 발전 기반을 마련하고 미래 치안 환경에 선제적 대응하고자 발전전략을 마련했다.
경찰청은 각 국·관별로 약 100여개 정보시스템을 구축·운영 중이다. 그러나 장비·기술 등이 표준 없이 제각각이라 빅데이터 등 최신기술 통합 도입이 어렵고 개별도입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 각 국·관별로 조정·통제가 미흡해 서버·데이터베이스(DB) 정보자원이 중복되는 등 예산 낭비 문제도 발생한다.
경찰청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된 정보화 업무와 인력을 통합할 계획이다. 행정력 낭비를 최소화하고 본연 업무에 집중, 업무 효율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한다.
14개 국·관별로 정보시스템 담당 직원을 별도로 뒀다. 정보화 기능 총괄 조정 조직인 정보화 센터를 신설해 경찰청 정보화 업무 조직을 점진적으로 통합한다.
경찰청은 수사, 교통 등 업무를 통해 국민 안전과 밀접한 데이터를 처리·관리 중이다. 경찰청 빅데이터 플랫폼 기준 257종 734억건 데이터를 보유했다. 그러나 대부분 데이터가 표준화되지 못해 실제 분석 등에 활용되지 못한다.
경찰청은 데이터 표준을 정립하고 데이터 중복·불일치·오류 제거로 데이터 기반 행정을 지원할 계획이다. 각 정보시스템에 공통 적용 가능한 핵심 데이터를 도출해 마스터 데이터로 관리하며 각 시스템 구축 시 적용한다.
이밖에도 경찰청은 현장 업무 지원 강화를 위해 모바일 시스템·애플리케이션 등이 적절하게 개발·보급되도록 모바일 정책과 모바일 플랫폼을 구축한다. 양자암호 기술 시범 적용, 인공지능 트래픽 장애 대응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한다. 경찰청 재해복구 시스템 구축, 차세대 보안관제 시스템 도입 등으로 재난·재해와 새로운 보안 안보 체계도 만든다.
경찰청은 이 같은 전략이 체계적으로 추진되도록 전문가 중심 자문위원회를 발족, 지속 소통할 계획이다.
이날 경찰청 1층에서 '경찰청 정보화 자문위원회 발족 및 위원 위촉식'을 개최했다. 이상진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강병준 전자신문 대표, 방소영 지티아이씨 대표 등 정보통신기술 분야 전문가 13명을 위원으로 위촉했다.
박성주 경찰청 미래치안정책국장(공동 위원장)은 “경찰청 정보화는 과거 50년을 되돌아보고, 미래 30년을 고민할 시점”이라면서 “오늘 자문위원회 발족을 통해 여러 위원님과 경찰청 정보화 미래 청사진을 함께 그려나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