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GIST, 양자점 표면 안정화 기술 확보…차세대 태양전지 효율에 기여 전망

국내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자점 박막을 개발했다. 차세대 태양전지 효율과 안정화에 기여할 전망이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총장 국양)은 최종민 에너지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의 표면 결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안정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 새로운 표면 안정화 전략을 제시했다고 12일 밝혔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은 뛰어난 광전기적 특성이 있고, 용액을 이용한 간편한 제조과정으로 대량 생산도 가능하다. 이 때문에 차세대 광전자 소자에 적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을 광전소자에 적용하려면 양자점 사이 거리를 줄여 전도성을 향상시켜주는 '리간드 교환 과정'이 필수다.

기존 리간드 교환 과정은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박막을 극성 용매에 녹인 이온성 리간드로 처리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극성 용매가 양자점 표면을 손상시키고, 이온성 리간드와 양자점 사이에 약한 결합이 발생해 양자점 표면에 결함이 많이 생성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리간드 교환 과정 중에 결함 자리를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리간드들이 도입돼 왔지만 모두 극성 용매에 분산되는 이온성 리간드의 활용이라는 큰 틀을 벗어나지 못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자점 박막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최종민 DGIST 교수, 한상훈·서가영 석박사통합과정생, 김영훈 국민대 교수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효율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양자점 박막을 개발한 연구팀. 왼쪽부터 최종민 DGIST 교수, 한상훈·서가영 석박사통합과정생, 김영훈 국민대 교수

연구팀은 무극성 용매를 사용해 양자점 표면을 보호하고, 공유결합성 리간드를 도입해 양자점 표면의 결함을 크게 감소시키는 새로운 접근 방식을 개발했다. 이렇게 함으로써 고효율과 장기 안정성을 가진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최종민 교수는 “무극성 용매는 이전의 극성 용매와 다르게 양자점 표면을 더 잘 보호해 결함이 덜 생기도록 해주었고, 공유결합성 리간드는 양자점 표면의 결함을 줄이는 데 크게 기여했다”며 “앞으로 좀 더 양자점 표면 제어 연구에 집중해 관련 재료 상용화에 기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김영훈 국민대학교 교수팀과의 공동연구 결과이며, DGIST 한상훈·서가영 석박사통합과정생 주도로 진행됐다. 한국연구재단과 DGIST R&D 프로그램 과제 지원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성과는 최근 국제 학술지 '어드벤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에 게재됐다.

대구=정재훈 기자 jho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