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전략기술 등 공공기술 연구에 집중하는 것이 대덕연구개발특구와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의 역할입니다. 이를 위해 앞으로의 50년은 미래 지향적 공공 연구영역을 담당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변화와 연구 주체별 역할 재정립이 필요합니다.”
30여년간 연구현장 최전선에서 우리나라 방위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 안동만 과학기술연우연합회 회장은 대덕특구 50주년을 맞아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 이같이 강조했다.
안 회장은 최초의 민간인 출신 국방과학연구소(ADD) 소장으로 ADD 근무 당시 KT-1, 백곰, 현무, 해성 등 무기 개발에 공헌했다. 이러한 성과의 바탕에는 연구기관 간 공동 R&D 수행 등 협업체계를 갖출 수 있었던 대덕특구 역할이 컸다고 설명한다.
안 회장은 “ADD 강당 앞에는 '우리는 여러분을 믿습니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민간단체가 세워준 비석이 있다”며 “이는 특구에 대한 국민적 기대감과 특구 내 모든 주체의 사명감을 대변하는 것으로, 지난 50년의 대덕특구는 신기술 개발 선도 등을 통해 이러한 역할을 성실히 수행해 왔다”고 말했다. 선진기술 도입과 신기술 개발, 이를 산업체에 전파하는 기술개발 매개체 역할로서 대덕특구 초창기 설립 목표를 200% 이상 달성했다는 평가다.
안 회장은 이러한 대덕특구가 앞으로 세계적 연구단지로 발전하기 위해 몇 가지 장애 요인이 해소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대덕특구와 같은 연구단지의 성공 요인은 연구원 사명감 고취와 사기 진작”이라며 “연구과제중심제도(PBS)를 비롯해 출연연을 옥죄는 공공기관운영에 관한 법률(공운법) 등은 이를 저해하는 요인이며, 연구기관별 특성화와 자율성을 가로막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결국 국가적으로 유연한 제도 운용을 통해 공공목적에 맞는 연구기관 고유 사업 자율성을 확보하고 대덕특구의 최초 목적대로 서로 다른 영역 간 융합을 위한 대덕특구 내 장벽 최소화를 위한 정책 수립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안 회장은 50년 역사만큼 대덕특구와 함께한 고경력 은퇴 과학기술인 규모가 상당하다는 점을 근거로 이를 활용한 발전 방안에 대해서도 조언했다.
안 회장은 “현재 출연연에서는 매년 400명 이상이 정년퇴임을 하고 있는데 이들 대부분 연구 지속 또는 연구행정지원 등 소프트랜딩을 원하고 있다”며 “과학기술 고경력자 활용 구축방안을 통해 대덕특구 내 젊은 과학자 육성을 위한 자원으로 활용하고, '생활 속 과학'을 실천하기 위한 과학 대중화에 있어 이들을 활용하는 프로그램을 정책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안 회장은 끝으로 대덕특구를 이루는 출연연들의 자체적인 변화 필요성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그는 “과거 국가 R&D는 정부와 출연연이 중심이었지만, 현재는 세계적 기업이 최첨단 제품의 시장 개발을 주도하고 출연연이 이를 지원하는 공공부문 축소 구조로 변하고 있다”며 “그러나 출연연은 기업 서브시스템 지원 역할이 아닌 차세대 에너지, 삶의 질 향상 기술 등 기업이 감내하기 어려운 고비용·장기 소요 R&D 등 미래 지향적 공공 연구영역을 담당하는 역할로서 출연연 간 융합연구 활성화 노력을 통해 앞으로의 대덕특구 50년을 이끌어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전=이인희 기자 leeih@etnews.com
-
이인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