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업계가 정부의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화 지적이 일부 부풀리기 됐다며 문제를 제기했다.향후 예상되는 데이터센터 구축 규모는 정부가 예측한 것의 10분의 1수준이지만 정부가 과도하게 수치를 키워 데이터센터 부정적 이미지를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산업부가 데이터센터 수도권 집중 근거로 활용하는 전력수전예정통지 수치는 허수가 많다는 분석이다.
전력수전예정통지는 사업자가 한국전력에 전기 공급을 요청하는 문건이다.
산업부는 2032년까지 전기 공급을 희망하는 전력수전예정통지가 경기지역에서만 670여건이 접수됐다고 공개했다. 인천(172건)과 서울(54건)을 합하면 수도권 지역에 900여건에 달하는 문서가 제출됐다.
산업부는 이를 근거로 여전히 수도권 지역에 상당한 데이터센터 수요가 발생할 것이라 우려한다. 수도권 밀집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센터 분산 정책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는 전력수전예정통지 문건 수 만으로 데이터센터 신축 규모를 판단해선 안 된다고 반박한다.
전력수전예정통지는 토지 소유주가 아니더라도 신청할 수 있으며 동일 토지에 대해 중복 신청(최대 8회)이 가능하다. 여기에 최근 데이터센터가 수익부동산으로 시장에 인식되면서 투자 관련 목적으로 수전예정통지를 신청하는 경우도 많다. 전력 제공이 가능한지를 먼저 살핀 후 투자 여부를 타진하기 위해서다.
만약 실제 데이터센터 사업자가 신청을 했다고 하더라도 토지에 대한 전기 수급이 가능한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에 해당하기 때문에 최종 데이터센터 설립까지 이어진다고 보기 어렵다는게 업계 주장이다.
업계는 900여건 가운데 10% 가량만 실질 데이터센터 수요라고 판단한다.
한국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화협회에 따르면 현재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는 36곳이며 2027년까지 두 배 가량 늘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데이터센터연합회도 2026년까지 구축되는 신규 데이터센터는 20여개 수준으로 파악한다.
업계 관계자는 “전력수전예정통지 수치가 데이터센터 설립 분위기를 반영하기에는 현실 데이터와 격차가 상당히 크다”면서 “전력 문제 등으로 인한 데이터센터 분산 취지에는 공감하지만 과장된 수치로 인해 데이터센터가 필요 없는 오해를 사는 상황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
김지선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