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중증장애인 생산품 명절선물 구매 외면 “매년 줄어”

지난 8일 김영주 국회부의장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중증장애인 생산품 국회 박람회를 개최했다.
지난 8일 김영주 국회부의장과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중증장애인 생산품 국회 박람회를 개최했다.

추석 명절을 맞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영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보건복지부·장애인인력개발원에서 '중증장애인 생산시설 선물 세트 공공기관 판매실적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의 구매실적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제도는 '중증장애인 생산품 우선구매 특별법'에 따라 매년 총구매액의 1% 이상 중증장애인 생산품에 구매 의무를 부여해주는 제도다. 2022년 기준 총 1042개 정부·지자체·공공기관이 대상이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생산시설은 장애인 근로자 10명 이상을 고용하는 시설로 762개가 지정돼 1만4283명이 근무하고 있다.

이들 시설은 매년 명절이면 중증장애인 생산품 카탈로그 등을 발송해 선물 세트 홍보하고, 판촉 행사를 통해 중증장애인 생산품 선물 세트 구매를 독려하고 있다. 올 추석에는 건강기능식품, 견과류, 공예품, 농산물 가공품 등 총 179개의 선물 세트를 판매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기관의 중증장애인 생산품 공공기관 판매는 2020년 설날 4억 3000만원을 기록한 후 줄어드는 추세다. 지난해 설날과 추석에는 공공기관에 각각 1억원밖에 판매하지 못했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명절 선물 세트 판매가 저조한 이유에 대해 한국장애인개발원은 “공공기관 구매 담당자들이 인사이동이 잦고,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대한 교육과 홍보 실적이 저조해 담당자의 관심도에 따라 일회성 구매에 그치고 있어 들쑥날쑥하다”라고 답했다.

중증장애인 생산품 선물 세트를 민간에 판매하기 위해 명절 귀성객들이 오가는 기차역이나 공항 등에 전시하기도 쉽지 않다. 장애인인력개발원 등은 중증장애인 생산품 명절 판매 및 홍보를 위해 기차역 등에 행사를 추진한 바 있으나 영세한 중증장애인 생산업체가 감당하기에는 대관료가 너무 비싸 행사 자체를 하지 못한 적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김 의원은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는 장애인의 소득 보장을 돕고 사회참여를 확대해 궁극적으로 자립생활을 가능하게 한다”라며 “정부·공공기관이 중증장애인 생산품 구매에 적극 나서 이들 생산품에 대한 인식개선과 명절 기간 따뜻한 나눔과 가치 소비문화 확산에 더욱 나서야 한다”라고 했다.

송혜영 기자 hybrid@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