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게티이미지뱅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0/02/news-p.v1.20231002.71f00dd2b8a245efbb4be00be34c0521_P1.jpg)
저축은행이 주택담보 중도금 대출 규모를 확대하고 있다. 시중은행이 중도금대출 규모를 줄이면서 저축은행이 해당 물량을 취급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이 취급한 주택담보 중도금대출 규모(비주택 제외)는 6월 말 기준 2조1907억원으로 지난해 말 1조9389억원에 비해 약 11.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중도금대출을 취급하는 저축은행 수도 19개사로 1개사가 늘었다.
대출금리는 저축은행별로 5∼15%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BNK저축은행은 감정가의 최대 80% 범위 이내에서 8억원까지 4% 금리를 제공해 가장 낮았다. 한국투자저축은행은 사업장별로 차이가 있지만 최고 15.66% 금리를 제공해 가장 높았다.
저축은행이 중도금대출 규모를 늘리는 것은 시중은행이 심사 단계에서 높은 분양률(70∼80%)을 요구하면서 분양률이 낮은 사업장이 시중은행 중도금대출을 받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에 건설사와 시행사는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더라도 대출이 가능한 저축은행에서 중도금대출을 실행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여신 감소세 지속도 중도금대출을 적극적으로 취급하는 이유로 꼽힌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7월 저축은행 여신(말잔)은 108조9848억원으로 지난해 말 115조283억원 보다 5.3% 줄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저축은행은 시중은행과 달리 오피스텔이나 중소형 사업장을 주로 취급한다”며 “중도금대출은 담보 물건이 있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보다 안전하다는 인식에 저축은행들이 중도금대출 쪽으로 눈을 돌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정예린 기자 yesli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