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獨인피니언 전력반도체 2030년까지 공급 받아

현대차·기아가 전기차 성능 향상과 전력반도체 공급망 강화를 위해 글로벌 1위 차량용 반도체기업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와 손잡았다. 2030년까지 안정적인 전력반도체 공급처를 확보하면서 전기차 사업 확대 기반을 마련했다.

현대차·기아는 인피니언과 17일(현지시간) 독일 뮌헨 인피니언 본사에서 전력반도체 전략협업 계약을 체결했다.

현대차·기아가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와 전력반도체 전략협업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채정석 현대차그룹 반도체전략실장 상무,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 담당 부사장, 피터 쉬퍼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장 사장, 피터 쉐퍼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 CMO 부사장.
현대차·기아가 인피니언 테크놀로지스와 전력반도체 전략협업 계약 체결식을 진행했다. 왼쪽부터 채정석 현대차그룹 반도체전략실장 상무, 김흥수 현대차그룹 GSO 담당 부사장, 피터 쉬퍼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장 사장, 피터 쉐퍼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 CMO 부사장.

계약에 따라 현대차·기아는 인피니언과 향후 출시할 전기차·하이브리드차 전력 성능 향상을 목표로 기술개발에 협력한다. 인피니언으로부터 2030년까지 전동화 차량 생산에 필요한 전력반도체 물량 일부를 공급받는다.

인피니언은 차량용 반도체 분야 시장 점유율 1위 업체다. 차량용 전력반도체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CU), 센서반도체를 비롯해 산업용 전력반도체 등이 주력 사업이다.

현대차·기아는 기술 경쟁력과 양산 검증 이력, 생산 규모 등에서 인피니언과의 시너지를 기대했다. 현대차·기아는 2000년대 초반 인피니언으로부터 처음 센서반도체를 공급받았고 2000년대 중반부터는 전력반도체를 수급해 왔다. 2007년부터 2020년까지는 인피니언과 전력성능 연구소를 운영했다.

전력반도체는 전력을 변환·제어, 분배해 배터리 사용 시간을 늘리고 전력 사용량을 줄여주는 친환경차 핵심부품이다. 기술 진입장벽이 높고 차종별로 맞춤 설계가 필요해 공급 업체와 생산 규모가 한정적이다.

현대차·기아는 최근 글로벌 전동화 시장 확대로 전력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대외 변수에 따른 공급 불확실성을 해소하기 위해 계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김흥수 현대차그룹 글로벌전략책임자(GSO) 부사장은 “양사 협력을 통해 중장기 수급 리스크를 해소하고, 신기술을 적용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바탕으로 전기차 시장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피터 쉬퍼 인피니언 오토모티브 사업부장 사장은 “현대차·기아의 시스템 사양에 맞춘 고품질 전력반도체를 개발하고 적시에 공급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정치연 기자 chiyeo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