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 시대, 유럽연합(EU)이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을 시행하고 2025년부터는 ESG 공시를 의무 적용한다. 공급망 실사 등 ESG 규제가 글로벌 스탠더드로 자리잡고 공시의무 대상이 산업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다. 전자신문은 대한민국이 '2050 탄소중립'을 위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는 'ESG 테크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ESG 전략'을 모색했다.
전자신문이 주최하고 법무법인 원이 공동주관한 '2023 ESG 테크 포럼'은 'ESG 확대 리스크와 산업 대전환 전략'을 주제로 23일 서울 섬유센터에서 개최됐다.
ESG 산업 대전환을 위해 정부와 국회는 ESG 지원 정책과 법률안을 제·개정하고, 기업은 ESG 경영체계를 구축하고 ESG 정보공시에 나서고 있다.
포럼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우리 수출기업들은 디지털 기반 탄소배출량 계산·절감계획을 서둘러 완비하고, 기업의 환경·인권 실사를 의무화하는 글로벌 ESG 규제에 선제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기원 법무법인 원 대표는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공급망 실사 등 각종 ESG 규제가 마련되고 있으며 투자기관들도 ESG 평가 기준에 따라 투자 여부를 결정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CE100(무탄소 100% 사용), RE100(재생에너지 100% 사용) 등 세계적 ESG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초거대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반도체, 이차전지, 원전, 재생에너지 등 첨단기술을 융복합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한화진 환경부 장관은 “수출비중이 높은 우리 기업들에 ESG 대응은 당면한 부담이자 도전과제지만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탄소중립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면서 “ESG 테크 포럼이 우리 사회의 ESG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해줄 것이라 기대하며 정부도 포럼에서 논의되는 의견들에 귀를 기울이겠다”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