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이태원 참사 1주기 앞두고 '서울재난안전포럼' 열어

서울재난안전포럼 유튜브 이미지. 포럼 내용은 시민 누구나 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서울재난안전포럼 유튜브 이미지. 포럼 내용은 시민 누구나 서울시 공식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시청이 가능하다.

서울시는 10·29 이태원 참사 1주기를 앞두고 26일 서울시청 신청사 3층 대회의실에서 '서울재난안전포럼'을 개최했다.

'서울시 재난안전관리 전략 및 향후 추진방향'을 주제로 한 이번 포럼에선 시 재난안전 관계 공무원, 민·관·학 각 분야 전문가 등이 함께 모여 서울시 재난대응 체계 강화 방안을 위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논의했다.

토론에 앞서 주제발표에서는 서울시 재난안전관리 대책 추진현황과 서울시 재난 피해자 및 유가족 지원 등이 소개됐다.

김혁 서울시 안전총괄관은 △자동반사적 재난대응력 DNA 체화 △재난 핵심기관 유기적 협력체계 구축 △잠들지 않는 재난 인공지능(AI) 네트워크 도입 등 3가지 테마로 서울시 재난대응 시스템을 소개했다.

하영태 서울시 복지정책과장은 서울시 10.29 참사 피해자와 유가족에 대한 장례 지원, 심리 지원과 참사현장 추모시설 조성 현황을 설명하며 “서울시는 유가족과 지속적으로 소통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송규 한국안전전문가협회장을 좌장으로 한 전문가 토론에서 김희갑 서울시 재난안전정책과장은 “서울시 공무원들이 어떤 재난이 발생하더라도 반사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역량을 길러나가겠다”며 “새로운 유형의 재난을 지속 발굴해 서울시 안전 취약점을 계속해서 보완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번 포럼은 가슴 아픈 10.29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서울시가 추진해 온 재난안전시스템을 돌아보고 '더 안전한 서울'을 만들기 위한 발전 방안을 논의하는 의미 있는 자리”라며 “포럼에서 논의된 성과와 현실성 있는 제안들이 서울을 넘어 대한민국의 안전을 한 단계 높이는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명희 기자 noprint@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