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패도 초격차 자산”…차원 다른 메가급 연구개발 '아르파-H' 닻 올린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한 '한국형 아르파-H(ARPA-H) 프로젝트 공청회'가 27일 호텔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열렸다. (사진=전자신문)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주최한 '한국형 아르파-H(ARPA-H) 프로젝트 공청회'가 27일 호텔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열렸다. (사진=전자신문)

“2033년 한국인 암 발생률 50% 감소에 도전한다.”

슈퍼박테리아 내성을 치료하는 차세대 항생제, 국산 기술을 내재화한 메신저리보핵산(mRNA) 백신, 초거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환자 맞춤형 의료서비스 등 개발 난도가 높지만 파급 효과가 큰 보건의료 분야 과제를 국가 주도로 해결하는 초대형 연구개발(R&D) 프로젝트가 내년 닻을 올린다.

보건복지부는 도전적이고 파급효과가 큰 과제를 선정하기 위해 처음으로 직접 프로젝트매니저(PM) 제도를 신설해 도입하기로 했다. 윤석열 정부가 야심차게 추진하는 보건의료 분야 연구개발 프로젝트인 만큼 업계 관심이 집중됐다.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27일 서울 마포구 호텔나루 서울 엠갤러리에서 '한국형 아르파-H(ARPA-H) 프로젝트' 공청회를 열고 이같은 방향을 공유했다.

한국형 아르파-H는 새로운 팬데믹, 초고령화, 필수의료 위기 등 국가 보건 난제를 빠르게 해결하기 위한 임무중심형 연구개발 프로젝트다. 미국이 지난해 시도한 도전혁신형 연구개발 체계인 고등연구계획국(DARPA), 의료고등연구계획국(ARPA-H)을 벤치마킹했다.

사업 예산은 내년부터 2033년까지 10년간 1조9314억원 규모다. 내년 예산만 495억원을 책정했다.

한국형 아르파-H 프로젝트 비전 (자료=보건복지부)
한국형 아르파-H 프로젝트 비전 (자료=보건복지부)

한국형 아르파-H는 크게 △백신·치료권 주권 확보로 보건안보 확립 △암·희귀·난치질환 등 미정복 질환 극복 △바이오헬스 산업 판도를 바꾸는 초격차 기술 확보 △초고령사회 대응과 지속가능한 복지·돌봄체계 구축 △필수의료지역 완결체계 구축을 5대 임무로 설정했다.

이를 바탕으로 5년 후에는 100일 내 백신 개발·생산, 거대 AI를 활용한 환자 맞춤형 의료 서비스 개발, 한국인 10대 주요 암에 대해 정확도 90% 수준의 동시 조기검진 달성 등을 비전으로 삼았다. 10년 후에는 한국인 암 발생률 50% 감소, 고비용 의약품 가격 100분의 1로 감소, 지역 의료이용 자체 충족률 95% 등을 실현하는 혁신적 목표를 달성하는 잠재 계획을 설정했다. 구체 사업계획은 내년 7월 확정한다.

이 사업의 가장 큰 특징은 국가 보건 분야에서 도전적 난제를 적극 발굴하되 연구개발 사업의 실패 가능성을 용인해주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복지부 산하에 '한국형 아르파-H 특별위원회'를 설치하고 보건산업진흥원에 추진단을 마련해 독립성을 보장한다.

특히 관료제를 최소화해 PM의 자율성과 독립성은 보장하면서 단장과 PM, PM과 PM 간 견제하는 구조로 프로젝트 성과를 관리하기로 했다.

이와 별도로 다양한 분야 전문가와 수요자가 논의에 참여하도록 '난제발굴지원단'과 특별위원회 자문그룹 등을 구성할 예정이다.

기존에 없던 새로운 형태의 연구개발 프로젝트이다보니 각 과제별 자율적 추진을 위해 예산 사용 등에서 유연성을 갖춘다.

정은영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기존에 없던 전혀 새로운 연구개발 프로젝트이다보니 예산 사용 시기와 체계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도록 관련 부처들과 협의했다”고 말했다.

“실패도 초격차 자산”…차원 다른 메가급 연구개발 '아르파-H' 닻 올린다

공청회 참석자들은 이번 사업으로 글로벌 수준에 맞는 보건의료 기술력을 확보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정재호 연세대 교수는 “효과적인 타깃을 발굴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정확히 이해하고 문제 정의와 과제 기획·선정·평가·관리를 할 수 있는 전문가를 사업단에 영입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다학제 초융합 연구주제를 발굴하고 긴 호흡으로 장기적 지원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우 국립암센터 연구소장은 “미국의 아르파-H 사업은 한 과제당 약 2조~3조원 규모인데 우리나라는 이보다 예산은 적고 과제수는 많아보여 선택과 집중이 필요해보인다”며 “병원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뤄지고 이를 연구소-학계-산업계로 확산하는 구조를 수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르파-H 프로젝트 추진 일정
아르파-H 프로젝트 추진 일정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