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자금세탁방지 공동인프라 세운다

핀테크, 자금세탁방지 공동인프라 세운다

핀테크업계가 자금세탁방지(AML) 공동인프라를 구축한다. 한국핀테크산업협회(핀산협)을 중심으로 수요조사 등을 실시해 전자금융사업자·소액해외송금업자를 대상으로 다음 달 초안을 내놓을 계획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핀산협은 AML 공동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무작업에 돌입했다. 우선 핀테크 업계 현황·수요 조사를 진행한다. AML 시스템 구축은 통상 각 사별 자체 구축 혹은 전문 업체를 통한 시스템 도입 두 가지로 이뤄진다. 두 가지 방식 모두 중소 핀테크 업체가 따로 진행하기에 시간과 비용, 인력이 부담스럽다. 때문에 업계가 함께 쓰는 인프라를 갖추는 것으로 방향을 정했다.

AML 시스템은 국내외적으로 이루어지는 불법자금 세탁을 적발하고 예방하기 위한 인프라다. 금융당국은 앞서 9월 전금업자 AML 내부통제 수준을 높이라는 지침을 전달했다. 2019년 7월부터 전자금융업에도 자금세탁방지 의무가 도입됐지만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앞으로 검사를 확대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금융감독원은 당시 “전금업권은 IT업체 기반 업무환경으로 자금세탁방지 업무에 대한 경영진의 인식이 낮고 전문인력이나 조직이 부족했다”면서 “전반적인 자금세탁방지 관련 내부통제기능 제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AML 공동인프라 구축에 대한 핀테크 업계 반응은 긍정적이다. 핀산협이 지난 7월께 실시한 기초 수요조사에서는 35개 핀테크 업체가 공동인프라 참여 의향을 밝혔다. 핀산협은 이달 실수요조사를 다시 진행, 수요도와 업체 별 원하는 시스템 기능 등 현황을 조사해 연내 인프라 관련 초안을 마련하고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핀산협은 AML 공동인프라 구축 방식 결정을 위한 현황 조사도 병행한다. 2019년 금융결제원과 협력해 소액해외송금업 공동 AML 시스템 구축을 논의했으나, 구체적 대안을 도출하지 못해 무산된 전철을 밟지 않겠다는 것이다. 핀산협은 11월 현재 다양한 협력방식과 더불어 빅테크 업체들의 자체 AML 시스템, 저축은행중앙회 AML 공동인프라 등 사례들을 조사 중이다.

핀산협 관계자는 “자금세탁방지 중요성이 커지며 그 필요성도 업계에 확산되고있다”면서 “AML시스템구축을 원해도 방식과 비용에 부담을 느끼는 업계 의견을 수렴해 AML 공동인프라 구축 논의를 진행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정다은 기자 danda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