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성 BEP 대표 “대기업 RE100 대응 지원 역할 강화...ESS 기반 사업 고도화 속도”

김희성 BEP 대표
김희성 BEP 대표

“대기업의 RE100767 대응 수요에 발맞춰 태양광을 비롯한 대규모 재생에너지 발전소 개발 비중을 지속 확대할 계획입니다. 재생에너지 생산·저장·판매로 이어지는 사업 고도화 또한 핵심 과제로 놓고 추진할 예정입니다”

김희성 브라이트에너지파트너스(BEP) 대표는 “사업에 진출한 지난 3년여 동안 꾸준히 성공 경험을 쌓았다”면서 “본격적으로 사업 규모를 확대해 급증하는 재생에너지 수요에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BEP는 자산 운용 규모가 지난해 말 기준으로 1경1000조원이 넘는 세계 최대 투자사 블랙록이 1대주주다. 김 대표가 2020년 BEP를 설립하자 블랙록 등 국내외 투자사가 2000억원이 넘는 뭉칫돈을 풀었다. 한화자산운용, 미래에셋증권, 한화큐셀 등을 거친 투자·에너지 전문가인 김 대표의 비전이 투심을 이끌었다.

제조기업 등은 생산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직접 저감하거나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로부터 공급인증서(REC)를 구매해 상쇄하고 있다. 김 대표는 RE100 등 탄소저감 관련 규제로 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김 대표는 재생에너지 자원 확보에 있어 속도가 중요하다고 봤다. 두둑한 시드머니를 기반으로 대형 발전소를 확보에 나설 수 있었지만 소규모 자원을 인수하는데 공을 들였다.

김 대표는 “대형 사업은 인허가 취득, 민원 해결 등 진입 장벽이 높아 불리하다고 판단했다”면서 “주로 개인사업자가 많은 소규모 태양광발전 시장에 신뢰성을 갖춘 기업이 진출, 차근차근 발전용량을 늘려나가자 투자자도 이 전략을 인정했다”고 설명했다.

BEP는 고속 성장을 이어왔다. 지금까지 확보한 태양광발전소는 총 300여개. 투자 규모는 3000억원을 넘어섰다. 발전용량(MW)의 최근 3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172.5%에 이른다. 올해 연결기준 매출도 전년 대비 70% 이상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BEP는 제2 성장전략을 가동한다. 재생에너지 사업의 외형을 키우는게 골자다.

RE100이니셔티브에 가입한 국내 기업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의 사용 전력량은 21.7TWh로 같은 기간 부산시(21.4TWh) 보다 많았다. RE100 대응에 필요한 재생에너지 수요가 갈수록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김 대표는 REC 공급 규모를 시장 수요에 맞추기 위해선 대형 사업 비중을 높여야 한다고 판단했다.

이에따라 BEP는 2026년까지 총 발전용량을 원자력발전소 1기에 해당하는 1GW까지 늘린다. 이 과정에서 수십에서 100MW가 넘는 대형 발전소를 직접 개발할 나갈 계획이다.

김 대표는 “그동안 1~3㎽의 소규모 태양광발전소를 인수하는 데 주력했다면 이젠 수십~100㎽ 이상의 대형 발전소를 직접 개발하는 사례를 늘릴 것”이라면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체력을 가졌고 대기업의 재생에너지 수요가 크게 늘어난 지금이 적기”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형 사업은 지자체, 지역 주민과 공존을 모색해야 한다”면서 “이러한 점을 충분히 반영해 사업을 개발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희성 BEP 대표 “대기업 RE100 대응 지원 역할 강화...ESS 기반 사업 고도화 속도”

김 대표의 시선은 사업 고도화까지 닿아있다. 현 주력 사업은 태양광발전소 운영, 신재생공급인증서(REC)와 전기차 충전소를 통한 전력의 판매다. 김 대표는 여기에 에너지저장장치(ESS151) 기반의 전력 저장 사업을 연결한다는 구상이다.

그는 “ESS를 통해 전력 생산, 저장, 판매라는 3개의 점이 연결되면 재생에너지의 간헐성 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한전의 계통 유연성 확보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성장동력인 전기차 충전사업도 성장에 초점을 맞췄다. 현재 운영중인 충전소는 총 7개소로 3년 내 100개소까지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당장, 내년 1분기까지 누적 20개소가 가동된다.

김 대표는 재생에너지 사업자로서 현 전력 시장 제도 개선 필요성도 언급했다.

그는 “ESS 등 대규모 투자가 필요한 자원은 일정부분 민간이 공급해야 한다”면서 “해외 다수 나라가 ESS 용량요금(CP) 지급 근거를 마련해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용량요금은 민간의 설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제공하는 지원금이다. 민간 투자자는 설비를 가동하지 않을 때 용량요금을 통해 고정비를 일부 회수한다.

김 대표는 또 “태양광 관련 임야 경사도 규제와 특정 도로, 시설, 입지로부터 최소 이격거리를 확보했을 때 개발행위허가를 승인해주는 규제는 상황에 맞게 융통성을 부여해야 한다”면서 “난개발은 당연히 억제해야 하지만 획일적 규제로 사업이 충분히 가능한 지역을 묶어 두는 것은 큰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