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지역 소멸 대응책이 복지 등에 집중돼 있었다면, 이제는 디지털로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정책) 효과를 내는 방안입니다.”
황종성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 원장은 지역이 인구 소멸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야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그는 '디지털로 해결하는 사회 문제, 디지털 기반 사회 현안 해결방안 토론회' 등을 주최할 만큼 디지틸 혁신을 통한 지역과 사회 발전에 큰 관심을 기울여왔다.
황 원장은 지역 디지털 혁신이 인프라 한계를 깨고, 인구 유입을 촉진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당장 지역의 물리적 인프라를 발전시키는데는 시간과 예산 문제가 있지 않느냐”면서 “이러한 물리적 한계를 극복하고 지역 이외에서 사는 인구를 유입시켜야만 지역 소멸을 막을 수 있는데, 디지털 혁신 말고는 방도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예를 들어 젊은 인구는 교통, 교육, 의료, 물류 등 인프라를 중요하게 생각하는데, 당장 지역의 인프라는 수도권에 비해 뒤처지지 않느냐”면서 “결국 디지털로 문제를 적극 개선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황 원장은 디지털 혁신이 산업 곳곳에 터잡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대표적인 예로 농업을 제시했다. 현재 농업은 전통 방식이 아닌 디지털을 적용한 '스마트 농업'이 대세로 자리매김했다. 스마트 농업이 발전한 지역에는 인구가 유입되고 지역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문화에도 전향적인 디지털 혁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재택 근무를 예로 들었다. 디지털을 통한 재택 근무가 활성화할 경우, 집값이 비싼 수도권이 아닌 지역으로 인구가 유입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그는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면 굳이 출퇴근하지 않고도 할 수 있는 일을 만들 수 있지 않겠느냐”면서 “지역 소멸 지역에서 근무하겠다고 하면, 재택 근무 업무를 배정하거나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식으로 사회 전반에서 전향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황 원장은 디지털 혁신 실무자 등이 디지털적 접근을 제고해 정책에 속도를 내야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정부는 지금까지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디지털적 접근에서는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면서 “아무래도 기존에 (성과가) 입증된 정책을 추구하는 것이 안정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이제는 선택과 집중을 해서 지역 디지털 혁신을 추구할 때”라면서 “성공적인 디지털 혁신 사례가 쌓인다면 정책 효과는 커지고, 지역 소멸 위기 해결에 다가설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
류태웅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