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5대 금융지주 회동…1조원 상생금융 카드 '만지작'

금융당국·5대 금융지주 회동…1조원 상생금융 카드 '만지작'

주요 금융지주사들이 금융당국과 만나 서민 취약계층을 위한 1조원 대 규모 상생금융 대책을 논의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5대 금융지주(KB·신한·하나·우리·NH농협금융지주), 3대 지방금융지주(BNK·DGB·JB금융지주) 회장들은 20일 간담회를 갖고 상생금융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김주현 금융위원장은 “단기간 급격히 늘어난 이자부담으로 골목상권 붕괴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은행권은 역대급 이익이 지속되는 상황”이라며 “코로나 이후 높아진 이자부담 증가분의 일정 수준을, 직접적으로 낮춰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 달라”고 주문했다.

최근 은행권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압박을 다각도로 받고 있다. 은행권 당기순이익이 2019년 13조1000억원에서 2022년 17조7000억원으로 늘어나는 등 '역대급 이익'을 거뒀다. 이는 곧 은행을 이용하는 국민이 '역대급 부담'을 떠안고 있다는 말과 일맥상통하다. 또한 은행의 이익확대가 금리상승 정책 등 외부적 환경 변화에서 기인한다는 점에서 부적절하다는 따가운 시선도 있다.

이와 관련해 윤석열 대통령은 '소상공인이 은행의 종노릇한다'며 강경발언을 쏟아냈고, 야당 역시 금융사 이익이 과도할 경우 부담금을 징수하는 이른바 '횡재세' 법안을 당론으로 발의해 은행권 공격에 동참했다

현재까지는 앞서 하나은행이 1000억원, 신한은행이 1050억원 규모 상생금융 방안을 내놨다. KB금융과 우리금융, NH금융 등이 아직 구체적인 액수를 내놓지 않았지만, 금융권에서는 최소 1조원 수준의 카드가 나와야 문제가 봉합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올해 역시 은행권이 벌어들인 이자이익이 역대 최대 수준으로 집계, 상생금융 압박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날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3분기 국내 은행 영업실적(잠정)'에 따르면 일반은행·특수은행·인터넷은행 등 20개 국내 은행이 올해 1~3분기 동안 거둔 당기순이익은 총 19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대비 무려 38.2%(5조4000억원) 증가했다.

대출 등 이자수익자산(평잔) 증가로 같은 기간 이자이익은 누적 44조2000억원으로 늘어났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수치다.

3분기 누적 판매비와 관리비는 18조9000억원으로 8000억원 늘어났다. 3분기 들어 물건비(임차료,감가상각비, 연구비 등)는 지난 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인건비(급여, 복리후생비)는 매분기 1000억원 가량 증가했다.

은행연합회 보고서에 따르면 국책은행을 제외한 국내 18개 은행 임직원의 평균 연봉은 1억355만원 수준이다. 은행권은 각 은행 간 연봉 편차도 적어 종사자 연봉이 고르게 높은 편이다. 이를 은행의 과점구조 영향으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금융감독원은 “고금리 상황 장기화와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에 따라 향후 은행의 대손비용 부담도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은행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속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형두 기자 dud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