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에코플랜트, 환경업 진출 3년 만에 업계 선도

SK에코플랜트, 환경업 진출 3년 만에 업계 선도

SK에코플랜트가 환경산업 리딩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관련 사업에 본격 진출한지 3년만이다. 하·폐수 정화, 소각 등 부문에서 압도적 실적을 확보했다.

SK에코플랜트는 22일 환경업 진출 3주년을 맞아 사업 관련 데이터를 공개했다.

SK에코플랜트 비지니스 모델 혁신을 경영 최우선 순위에 두고 지난 2020년 환경사업에 본격 진출했다. 그사이 국내 환경 자회사 숫자는 24개로 늘었고, 사업구조는 소각·매립·수처리 등 다운스트림부터 폐플라스틱, 전자전기폐기물, 폐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업스트림 사업까지 다각화됐다. 연구·개발(R&D)을 바탕으로 한 고도화, 사업 최적화 및 효율화를 통해 외형 성장뿐만 아니라 내실을 다지는 데도 힘쓰고 있다.

국내 최다(1295개) 수처리장을 운영 중인(위탁운영 포함) SK에코플랜트가 1년간 정화한 하·폐수량은 약 11억700만 톤에 달한다. 이는 서울시민의 연간 수돗물 사용량(2021년 기준 11억95만 톤)보다 많다. 연간 약 35만1495톤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일반 소각 부문에서도 국내 점유율 1위다. 의료 소각 용량까지 포함하면 연간 전체 소각 처리량은 40만 톤을 넘어선다.

SK에코플랜트가 국내 최초로 적용한 소각시설 AI솔루션은 환경오염 물질 저감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AI 소각로 5개소 도입 300일 누적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배출 물질 감소율은 일산화탄소 49.9%, 질소산화물 12.9%에 달한다. 전력, 스팀 등 에너지 생산량은 약 3.1% 증가했다.

폐기물 에너지화 및 자원화(Waste to Energy, Resource)를 통한 순환경제 실현에도 앞장섰다. 소각장 폐열은 다시 전력생산에 사용하거나 스팀으로 만들어 인근 공단이나 산업시설에 공급하고 있다. 소각시설 매출 중 에너지 판매 비중은 20%대에서 30% 이상으로 올랐다.

폐PET병을 원재료로 만든 K-에코바(GFRP,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는 철근 대체재로 건설현장에 실제 적용되는 등 사업화 궤도에 올랐다. K-에코바는 일반 철근과 비교해 강도는 높고 무게는 가볍다. 연간 생산량은 약 1만6000톤으로 내년 4만 톤, 2027년 20만 톤까지 생산능력을 키울 계획이다.

폐배터리 등 고부가가치 리사이클링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북미, 유럽, 아시아 권역별로 글로벌 거점을 확보했고, 배터리 소재사 및 완성 배터리 기업들과 협업을 기반으로 공급망 구축도 마무리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전남대학교 등 국내 유수의 연구기관과 함께 니켈·코발트 97%, 리튬 90% 등 희소금속 회수기술을 개발한 데 이어 안전하고 효율적인 고속 방전을 포함한 폐배터리 전·후처리 4대 핵심기술 특허 출원도 마쳤다. 미국 켄터키, 네덜란드 로테르담, 중국 옌청 등 주요 거점에 폐배터리 리사이클링 공장 건설도 한창이다.

안전보건체계 및 컴플라이언스 프로그램 구축 등 내실에도 힘을 쏟았다. ESG컨설팅 진행 등을 통해 체계를 정립했다.

업계에서도 SK에코플랜트의 이 같은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 연초 환경부 업무보고에 업계 대표 격으로 참석한 SK에코플랜트는 지난 4월부터 한국환경산업협회 회장사를 맡고 있다.

박경일 SK에코플랜트 사장은 “SK에코플랜트의 혁신 기술과 솔루션이 확산되며 기존 환경산업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수요들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 고무적”이라며 “기술 고도화와 산업 선진화 노력을 바탕으로 SK에코플랜트가 하는 환경 사업의 차별적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최호 기자 snoop@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