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산업 육성의 컨트롤타워로 출범을 앞둔 '바이오헬스혁신위원회'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부처 간 칸막이를 없애고 정책 지향점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지난 26일 '제25호 정책보고서'를 발간하고 이같이 제시했다.
보고서에서 이명화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제약바이오산업 육성 컨트롤타워인 혁신위가 제대로 작동하려면 부처 간 벽을 허물고 정책 방향성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위원은 연구개발(R&D), 규제, 건강보험, 산업화 주체 간 유기적 연계 필요성을 강조했다. 예컨대 임상 과정에서 보건복지부뿐만 아니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다른 부처 지원 예산을 적절히 활용하도록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이 연구위원은 “연구개발 단계부터 인허가 가능성이 미리 고려되고 건강보험당국과 협의가 이뤄졌다면 보다 효율적으로 성과가 창출될 것”이라면서 “위원회에서는 핵심주체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관계 부처 협조를 이끌어내는데 주력해야 한다”고 짚었다.
정부 약제비와 약가 정책에 대한 제언도 나왔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약가정책 태스크포스팀(TFT)은 “과거처럼 제네릭 의약품 약가 인하로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강박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분석했다.
대원제약 약무정책팀은 “(산업계의) 연구개발 비용 자체부담률은 95.9%로 향후 예고된 약가인하·사후관리 강화 정책이 시행될 경우 국내 제약산업의 연구역량 강화와 투자 연속성을 유지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우려했다.
인공지능(AI) 신약개발에 대한 의견도 제시했다.
홍성은 AI신약개발지원센터 선임연구원은 “신약개발 생산성 저하를 해소할 가장 적절한 방법은 자율화, 자동화, 의사결정 지원이 가능한 AI 기술”이라고 소개했다.
또 “정부가 내년부터 추진할 연합학습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멜로디)는 기술 고도화와 상용화, 협업 생태계 구축 등의 발전모델을 구축해 AI 신약개발을 촉진하고 AI 신약개발의 비용 절감 효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배옥진 기자 withok@etnews.com
-
배옥진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