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극한호우 원인은 지구 온난화”

전선호우 강도 변화, 온난화가 전선호우 강도에 주는 영향.
전선호우 강도 변화, 온난화가 전선호우 강도에 주는 영향.

과거 60여년간 동아시아 지역 호우강도가 약 17% 증가했고, 주원인이 인간 활동에 따른 '지구온난화 가속화'임을 세계 최초로 입증한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총장 이광형)은 김형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교수(건설 및 환경공학과, 녹색성장 및 지속가능대학원 겸임)와 문수연 인문사회연구소 박사가 지구 메타버스 기술을 이용한 한·미·일 국제 공동연구로 이를 증명했다고 5일 밝혔다.

여름 호우강도가 과거 몇 십년간 변화한 사실은 세계 각지에서 보고됐다. 그러나 동아시아 여름 호우는 태풍, 온대 저기압, 전선 등 다양한 프로세스에 기인하며, 여름 호우 40% 이상을 차지하는 전선이 야기하는 호우연구는 아직 미흡하다.

또 호우는 기후 시스템 자연변동이나 우연의 영향도 존재해 인간 활동에 따른 온난화가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KAIST, 도쿄대, 도쿄공업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GIST), 유타주립대 등 한·미·일 8개 기관의 국제 공동연구팀은 동아시아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강도를 과거 약 60년간 관측 데이터로 확인했다.

그 결과 중국 남동부 연안 영역부터 한반도, 일본에 걸쳐 호우강도가 약 17% 증가한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있는 지구와 그렇지 않은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거쳐 온실가스 배출에 따라 호우강도가 약 6% 강화됐으며, 이는 인간활동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음을 보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했다.

교신 저자인 김형준 KAIST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강도가 최근 반세기에 걸쳐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밝히고, 그 변화에 인류 흔적이 뚜렷하게 남아 있음을 증명한다”며 “이는 기후변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되며 탄소중립을 성공적으로 달성하더라도 필연적으로 진행되는 가까운 미래 기후변화에 효율적으로 적응하기 위해 필수 불가결한 정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11월 24일 출판됐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해외우수과학자유치사업(BP+)와 인류세연구센터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김영준 기자 kyj85@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