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3%를 기록하며 4개월만에 상승폭이 축소됐다. 다만 장바구니 물가와 직결되는 신선식품지수는 두자릿수대로 올랐다. 정부는 향후 추가적인 외부 충격이 없는 한 추세적인 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아직 가격이 높은 일부 농축수산물에 대해서는 물가 안정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11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2.74(2020년=100)로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했다.
지난 6월 2.7%, 7월 2.3%까지 떨어졌던 물가상승률이 8월 3.4%, 9월 3.7%, 10월 3.8%에 이어 4개월째 3%대에 머물렀다. 4%대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왔지만 10월을 고점으로 상승세가 꺾여 3%대 초반까지 떨어졌다. 전월대비로는 0.5%포인트(P) 둔화했다.
7월 이후 국제유가 반등과 기상여건 악화 등으로 물가가 일시적으로 상승했다가 10월부터 국제유가가 진정되면서 휘발유 가격이 지난 8월초 수준까지 하락하고, 주요 농산물 가격도 수급여건이 개선되면서 전월보다 큰 폭으로 하락했다.
실제 지난달 상승폭이 꺾인 것은 국제유가가 하락세로 돌아선 영향이 컸다. 전날(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서부텍사스산중질유(WTI) 선물은 전 거래일보다 1.11% 하락한 배럴당 73.25달러에 거래됐다. 지난 9월(93.68달러) 대비 21.8% 감소했다. 지난달 석유류 지수 역시 전년 동월 대비 5.1% 하락하며 전체 물가를 0.25%P 떨어뜨렸다.
특히, 추세적인 물가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가 하락세를 지속하면서 3.0%까지 낮아졌다. 미국과 유럽의 근원물가가 예전보다 낮아졌지만 아직 4~5%대를 보이고 있는데 비해 안정적이라는 평가다.
반면 농산물은 13.6% 오르면서 0.57%P 물가상승 요인으로 작용했다. 신선 어개·채소·과실 등 기상조건이나 계절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품목으로 구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2.7% 급등했다. 신선과실지수는 24.6% 뛰었다. 사과가 55.5%, 귤은 16.7% 올르며 전월(26.2%)에 이어 20%대 상승세를 이었다.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향후 추가적인 외부 충격이 없는 한 추세적인 물가 안정 흐름이 계속 이어질 전망”이라면서 “국제유가 변동성, 기상여건 등 불확실성이 여전한 만큼 특별물가안정체계를 계속 운영하면서 물가·민생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아직 가격이 높은 일부 농축수산물의 가격 안정을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면서 “바나나, 닭고기, 대파 등은 11월 시행한 할당관세 물량이 신속히 반입되도록 유도하고, 12월 초중순 종료 예정이었던 농축수산물 할인지원과 수산물 온누리상품권 환급행사를 예비비를 활용해 연말까지 연장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
이준희 기자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