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탈중앙화 시스템으로 전환이 필요한 이유

양정녕 쌍용정보통신 상무
양정녕 쌍용정보통신 상무

지난 20여년간 우리나라 행정은 디지털화를 거치며 시·공간적 효율이 뛰어난 중앙집중화 시스템을 만들었지만, 이면에는 유지보수 비용 증가와 같은 비효율성도 늘어났다. 게다가 개인의 사생활 침해, 정보보안 등 셀 수 없이 많은 이슈도 발생했다.

중앙집중화된 시스템으로 디지털화된 사회를 구성하는 것이 다양한 문제에 봉착하자 이를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블록체인이다. 블록체인은 두 가지 큰 줄기가 있다. 정보를 생산하는 블록 생성 그리고 블록을 확인하는 검증으로, 블록은 정보 생성자에 의해 생성되고 검증자는 정보를 검증해 연결해준다. 이렇게 생성된 정보 블록은 모두 '가치'를 가지며, 가치는 정보 생성자에 의해 끊임없이 만들어진다.

이러한 가치들이 쌓이고 연결되면서 사회를 이루고, 사회는 색채를 띄게 된다. 이 역시 더욱 커다란 가치를 만들고 또다시 자신을 키워 나간다.

이처럼 블록체인은 거래 정보와 이를 검증하는 검증 체계를 분산화시켜 중앙에 집중된 거래 정보가 아니어도 안전한 거래를 보장할 수 있는 구조를 선보이면서 분산화된 디지털 사회가 효율성이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같은 사례를 통해 현재 시스템의 문제점 해결 방안을 모색해 본다.

블록체인과 같이 '탈중앙화 정보관리체계'는 개인 정보를 사용자의 단말 혹은 정보계정에 저장해 개인 정보 인증 시, 필요한 정보만 골라 제출하도록 해주는 기술이다. '탈중앙화 신원증명(DID: Decentralized Identity)'과도 맞닿아있다.

특히 '탈중앙화 정보관리체계'는 중앙기관이 아닌 개인들이 자신의 정보 가치를 직접 관리하는 구조다. 따라서 기존 방식과 달리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모든 개인 정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된다. 각각의 사용자가 인증을 위해 꼭 필요한 정보만을 선택해 제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금융기관에서 업무를 위해 요청하는 주민등록등본에는 나와 가족들의 나이뿐만 아니라 주소,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모든 개인 정보가 노출된다. 하지만 '탈중앙화 정보관리체계'에서는 개인이 생성한 정보들은 개인의 정보계정에 보관되어 있고, 정제된 정보인 '한국 내 직장 근무 중'처럼 필요한 사실만 확인시켜 줄 수 있다.

온라인 행정시스템에 적용할 때는 편의성도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매번 별도로 인증할 필요없이 이전에 검증했던 데이터를 불러오면 된다. 즉, 개인 정보를 반복적으로 여러 곳에 입력하거나 일일이 신분증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

탈중앙화의 핵심은 정보 가치의 주권이 중앙기관에서 각 개인에게 되돌아온다는 사실이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중앙의 서비스 제공자가 운영하는 시스템에 방대한 양의 개인 정보가 몰리는 것은 상당히 위험한 현상이다.

행정기관들과 공무원들이 처리해야 하는 정보 가치의 양은 한계를 모르고 증가하며, 관리에 어려움이 따른다. 자칫하면 대량의 개인 정보가 유출될 수도 있다. 실제로 국내 유수의 금융기관들도 작은 실수로 인해 시스템이 뚫린 적이 있으며, 세계적인 데이터 기업들도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시스템의 안전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하더라도 정보 가치의 사회적 복잡성 속도가 급격하게 빨라짐에 따라 현재의 중앙 관리체계는 이같은 복잡성과 양적 팽창을 담기에 턱없이 부족할 따름이다.

결국 중앙과 개인, 개인과 중앙의 조화롭고 안전한 정보 제공을 위해 탈중앙화, 즉 '웹(Web) 3.0' 시대로의 전환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러한 탈중앙화의 기술적 흐름에 삼성, SK, LG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아이티센과 같은 중견기업들도 금 거래 플랫폼과 같은 새로운 정보 유통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쌍용정보통신 상무 jnyang@sicc.co.kr 양정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