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 준공될 제2철도교통관제센터는 노후화된 시스템을 개선하는 문제를 넘어 오랫동안 안전을 위해 서둘러야 할 과제였다. 내년 시스템 구축과 센터 건설작업의 착수로 철도 분야 오랜 숙원이 현실화될 수 있게 됐다.
2006년 설립된 현 철도교통관제센터(구로관제센터)는 16년간의 운영으로 인해 이미 시스템이 노후됐다. 게다가 제4차 국가철도망 구축사업으로 철도망은 꾸준히 늘어날 예정이어서, 용량자체도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비상시를 대비해 운영 중인 예비관제실(대전)은 구로관제센터의 약 10% 규모밖에 되지 않아 백업기능을 수행하기에도 한계가 있었다. 2018년 국토교통부가 철도관제시스템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2019년에는 시급성에 의해 예비타당성조사 면제까지 받아 사업이 추진됐다. 국가철도공단은 지난 해 말 건축 기본설계와 실시설계에 착수하고 올 초에는 시스템 상세설계(ISMP)까지 완료하면서 구체화됐다. 올해 8월 시스템 구축 사업 입찰이 시작돼 두번의 유찰 끝에 연말 사업자 선정까지 마무리 지었다.
노후화된 시스템을 고도화하고 신규 노선 증설에 대비하는 것이 목적이었지만, 새 시스템은 이를 넘어 인적오류를 최소화하고 국가 비상대응력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는 것으로 계획됐다.
국가철도공단은 의사결정지원시스템 개발을 통해 이례 상황 발생 시 관제사에게 여러 대안을 제시한 후 최적의 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 인적오류를 방지하고, 관제 업무를 경감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동안 관제사는 콘솔화면을 24시간 상시 모니터링하며 열차운행 감시를 했어야 했는데 이를 시스템으로 대체함으로써, 관제 인력을 더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기반도 마련할 계획이다.
제 2센터가 구축되면 구로관제센터와 상호 백업하는 형식으로 복구 관제체계가 구축되는 것도 큰 의미를 갖는다.
철도교통관제센터는 피폭 또는 중대 결함 발생으로 기능이 마비될 경우 국가안보와 국민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주는 국가중요시설이다. 관제센터가 제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면 국가 핵심 교통수단이 마비되게 된다. 복수관제체계를 통해 무중단 운영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국가철도공단은 평상시 권역을 분리해 운영하고 비상사에는 정상 운영 중인 관제센터로 중단없이 관제권을 이관해 전체 권역을 관제하는 방식으로 비상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철도 서비스도 획기적으로 개선될 것으로 기대된다. 열차 충돌이나 지연이 발생할 때 운행계획을 즉시 조정할 수 있는 '경합해소시스템'이 구현되기 때문이다. 사고 회복 시간도 크게 단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서버 및 시스템의 상태에 대해 실시간 모니터링할 뿐만 아니라 이상 징후 감지 및 고장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제 장애도 최소화할 수 있다.
국가철도공단 관계자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운행 예측 정보, 지연에 의한 영향, 복구시간 등의 정보도 대민서비스로 실시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 “불편을 최소화하고 대국민 서비스를 향상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문보경 기자 okmun@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