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육아휴직자 14%↑, 20만명 육박…아빠 비중 27.1%로 늘어

지난해 육아휴직자가 14.2% 급증해 약 20만명에 육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육아휴직 제도를 이용하는 아빠가 꾸준히 늘면서 전체 육아휴직자 중 27.1%가 아빠인 것으로 나타났다. 아빠 육아휴직자 중 70% 이상이 직원 수 300명 이상 대기업 직원으로 쏠림 현상은 여전했다.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2022년 육아휴직통계 결과(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만 8세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 양육을 위해 휴직을 시작한 사람은 19만9976명으로 전년(17만3631명) 대비 14.2%(2만4866명) 증가했다.

특히, 작년 육아휴직자 27.1%가 부(父)였던 것으로 나타났다. 부가 차지하는 비중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로 전년(24.1%) 대비 3.0%포인트(P) 상승했다.

육아휴직을 한 부의 70.1%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소속됐고, 50~299명(14.7%), 5~49명(10.9%), 4명 이하(3.8%)인 기업체 순이다. 육아휴직을 한 모(母)의 60.0%가 종사자 규모 300명 이상인 기업체에 소속됐고, 5~49명(19.5%), 50~299명(14.4%), 4명 이하(5.5%)인 기업체 순이다.

작년 출생아 부모의 작년 육아휴직 사용률은 전년대비 4.3%P 상승한 30.2%를 기록했다. 부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6.8%, 모는 70.0%로 전년대비 부는 2.7%P, 모는 4.6%P 상승했다. 모의 연령별 육아휴직 사용률은 30세 미만(73.5%)에서 가장 높고, 산업은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78.7%)에서 가장 높았다.


직냔 출생아 부가 종사하는 산업별 육아휴직 사용률은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12.6%로 가장 높고,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10.3%), 운수 및 창고업(9.6%) 순이었다. 전년대비 모든 산업 분야에서 부의 육아휴직 사용률은 상승했다. 모의 경우 사업시설 관리사업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이 78.7%로 가장 높고,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78.5%), 금융 및 보험업(77.6%) 순이었다.

지난해 육아휴직자 14%↑, 20만명 육박…아빠 비중 27.1%로 늘어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