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내 자동차·부품사를 대상으로 최근 국회를 통과한 미래차 산업 전환을 위한 법안 시행을 위한 설명회를 새해 1월 개최한다. 해당 법안은 전기·수소차와 자율주행 등 미래차 우수 인재 육성 등을 골자로 한다. 미래차 연구개발(R&D), 공급망 조성 등 관련 법령을 마련하는 자리로 미래차 전환 속도가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 자동차 생태계 육성을 위한 특별법이 8일 열린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사진은 현대차 울산공장의 전기차 아이오닉5 생산라인](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2/27/news-p.v1.20231227.e7db1ea509b24e8d83b0213011bad32e_P1.jpeg)
업계에 따르면 한무경 국민의 힘 첨단전략산업특별위원회 위원은 '미래자동차 부품 산업 전환 촉진 및 생태계 육성에 관련 특별법안'(이하 미래차 특별법)을 설명하고, 하위 법령을 마련하기 위해 1월 셋째 주 경기·충청 권역 자동차, 부품사를 대상으로 설명회를 열 계획이다.
이 자리에는 현대자동차·KG모빌리티·경기산업·유니퀘스트 등 20~30개 기업이 참석할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자동연구원·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등 정부와 산업 단체도 참여한다.
한무경 의원실은 “특별법은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전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기업을 지원하는 만큼, 새해부터 경기·충청,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전남·전북 등 4개 권역 완성차, 중견·중소 부품사를 대상으로 한 설명회를 가질 예정”이라고 말했다.
미래차 특별법이 지난 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고 자동차 산업계와 순회 설명회를 개최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설명회 주요 논의 대상은 미래 인재 육성이다. 기존 내연기관차의 전기차, 수소차, 자율주행차 등 관련 인재를 육성해 미래 모빌리티 전환을 가속화한다. 한국자동차연구원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중소 부품사 가운데 전기차를 비롯해 미래차 전환율은 20%에 그쳤다.
이번 법안은 기업의 미래차 전환을 돕기 위해 전문 인력 양성을 중심으로 R&D, 공급망을 강화하기 위한 하위 법령을 만들기 위해 업계와 만나는 자리로 의미를 더한다. 부품 업계 관계자는 “미래 모빌리티 시대에 대응해 국내 기업 지원을 돕는 관련 법령이 만들어 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미래차 특별법' 관련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회의 모습.](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3/12/27/news-p.v1.20231227.1122bb45011c460a9650b32266c4c2e1_P1.jpg)
김지웅 기자 jw0316@etnews.com